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의 재정립 :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 Reestablishement of Polical Objectives and Prace Methods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 Research on New Directions for Empowerment of Political Autonomy and Subjectivity of Learn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38(4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데에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은 정치의 주체이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주체 역시시민이 되어야 한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과정에서 평화와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윤리적-정치적 실천을 고민하는 시민을 양성하는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되어야 한다. 서독(독일)의 정치교육은 1976년 ‘보이텔스바흐 합의’를통해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고 대신에 정치적 양극화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역시 정치와 교육의 관계를 재설정함으로써 학습자(시민)의 자율성과 주체성을보장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정치와 교육의 관계는 위계적인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관계로 전환되게 된다. 또 교육현장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하는 ‘공론장’이 될 수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통일교육은 크게 세 가지 변화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포용적 교육이 되어야한다.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하는 평화교육과 인권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사회와 세계시민들과 함께 연대하고 협력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는세계시민교육이 되어야 한다.
The fin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newly restablish the political objectives and practical methods of peaceful reunification educ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citizens are the subjectivity of politics, so that they must also subjectivity on the process of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ims to cultivate citizens who contemplate ethical-political practices for realizing peace and human rights throughout the process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o prioritize and respect learners’ political autonomy and subjectivity. Political education in West Germany(Germany) was able to free itself from political polarization by respecting learners’ autonomy and subjectivity through the “Beutelsbach Consensus” in 1976. Therefore, the new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nsure learners’ autonomy and subjectivity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If that is the case, the relation between politicss and education will transform from hierarchial to horizontal. Addtionaly, the education fields can become a ‘public sphere’ for discussing various issues relatied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wants to propose three major directions for achieving learners’ political autonomy and subjectivity through peace unification education. Firstly, the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come inclusive education. It should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diverse perspectives on various issues related to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 able to embrace these differences. Second, the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to be both peace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considering the unique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while upholding the universal values of peace and human rights. Third, peac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derstanding that the issues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re not solely the problems of North and South Korea but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tional community and global citize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