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흰쥐의 척수손상 망상체핵 유발 전위의 변화 = Changes in the Motor Evoked Potentials Produced by Stimulation of Reticulospinal Tract Neurons in the Chronic Spinal Cord Injury of Rat
저자
김학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김상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심대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김태요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임경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김종환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514.32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26(12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장기관
목적 : 척수의 손상 후 운동 회복은 세로토닌계 축삭이 재생하여 운동 신경원과 새로운 접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고 믿어진다. 해부학적으로 신경사가 재생된다면 전기 생리적 방법으로도 이를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흉추부에 척수손상을 입은 쥐에서 뒷다리 운동을 회복하는 시기는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유발된 운동 유 발 전위의 회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회복 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백서 제 5-6 흉추간 척수의 배측 1/4을 남기고 손상을 준 후 망상체 척수로 유발 전위를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 80 마리의 백서를 무균 수술을 통하여 제 5-6 흉추간을 제 11 번 칼을 이용하여 손상을 준후 손상 직후부터 최장 6 1일간 망상체 척추로 유발 전위를 측정하였다. 손상준 동측의 망상체 핵을 자극하고, 유발 전위의 측정은 제 2-3 요추간에 후궁 절제술후 2 M Nacl (1.5-2.0 M Ohm)으로 채워진 미세 전극을 사용하였다. 망상체핵 자극에 의한 운동 유발 전위 발생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 6 흉추에서 경막외 측정을 하는 동시에 유리 미세 전극을 이용하여 제 2-3 요추부 척수내 측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 요추의 배측 전방에서 형성된 장전위를 양측에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 5-6 흉추간에 서 손상을 준 직후 동측의 제 2-3 요추간에서는 장전위가 거의 소멸 하였고, 반대측은 변함이 없이 유지 되었다. 감 소된 손상측의 장전위는 손상후 1주부터 회복 되었으며, 이후 크기가 점차 증가하여 4주 째에는 건측의 장전위 보 다 오히려 4배나 증가 하였다. 2) 장전위의 크기가 측정된 요추부의 척수을 배측에서부터 적은 간격으로 지도화 하 였다. 건측에서는 회백질의 배측 경계부에서 가장 크고, 이에 비하여 손상된측에서는 배측에서 약간 요측으로 이동 하였다.
결론 : 망상체핵 유발 전위가 가장 크게 기록되는 척수내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회백질부와 복측 백질 경계부에서 배측으로 이동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망상체핵 유발 전위가 다시 나타나는 것은 왼쪽에서 완전히 절단되었던 망상핵 척수로가 남아있던 오른쪽으로부터 척수의 중앙선을 건너 재생되어 복측 회백질부의 운동 신경원과 연결을 이루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배측의 망상 척수로 유발 전위는 손상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 되었으며, 4 주 이 후에는 건측 보다 크게 회복 되었다. 이또한 망상체 척수로 유발 전위는 동측과 반대측을 경유하여 내려오며, 손상 후 재조합되어 회복함을 보여준다.
Study design : There is a prospective study of 80 Sprague-Dawley rats which were made at the spinal cord lesion T5/6 level, sparing only one ventral quadrant. We monitered medullary reticulospinal neurons(RtN) evoked potentials at the L2/3 level which laminectomy was performed.
Objective :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motor neurons to stimulation of the medullary reticular formation following partial spinal cord lesions sparing only the ventral quadrant.
Summery and Back ground data : There were many report that the animals with spinal cord lesion recovered well-coordinated fourlimb locomotion within 2-3 weeks. The time course of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is hindlimb locomotion was correlated with the recovery of motor evoked potentials(MEP), which originate from reticular nuclei.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return of locomotor function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may partially rely on the reorganization of descending inputs to ventral horn neurons previously occupied by damaged afferents.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80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study. Under sterile conditions, spinal cord lesions were made at the T5/6 level using a No. 11 blade, sparing only one ventral quadrant. The animals allowed to survive from one day to 61 days. To monitor RtN evoked potentials, laminectomies were performed at L2/3 level. Field potentials were recorded using a glass microelectrode filled with 2 M NaCl(1.5-2.0 M Ohm). Cord dorsum potentials were also epidurally monitored at L2/3 using a pair of teflon-coated wires. The gigantocellular reticular nucleus ipsilateral to the spared ventral cord was stimulated using a monopolar tungsten microelectrode.
Results : The field potentials generated in the ventral horn of the lumbar cord were recorded bilaterally. In some animals field potentials were monitored just before and right after the spinal cord lesion. 1) Following spinal cord lesion at T5/6, the amplitude of RtN evoked potentials declined significantly in the L2/3 ventral gray matter of the completely lesioned side. Field potentials monitored below the ipsilaterally spared ventral quadrant remained unchanged. Depressed RtN evoked potentials in the ventral cord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next four weeks, and finally reached greater than 4 times of the amplitude monitored on the contralateral side. 2) The sites in which field potentials could be monitored in the lumbar spinal cord were mapped. In normal rats, the largest field was monitored near the ventral margin of the gray matter. On the other hand, in spinal cord injured animals, the largest field potentials were located in more dorsal aspects of the ventral horn, suggesting a structural reorganization of the descending inputs has taken place.
Conclusion : The RtN evoked potentials in the ventral horn increased gradually for several weeks after the injury. The returned RtN evoked potentials below the completely lesioned side of spinal cord were larger than those seen in normal spinal cord. The time course of returning evoked potentials below the lesioned side of the spinal cord seems to coincide with the restitution of same-side hindlimb locomo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