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민 정치·대중 정치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본 진보 정치 = The New Challenge of the Korean ‘Progressive Politics’, Viewed from Interaction with ‘The National Politics’ and ‘Popular Politics’
저자
조희연 (성공회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4(3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 of the Korean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from the perspective inter-relating “the national politics”, “popular politics” and progressive politics.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ogressive politics is that it exists as a part of the national political arena, and as one actor within the community of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In addition, the third one is that it stands on the popular support, which means that it exists in relation to the popular politics.
Given such three aspects, the author analyzed the change in the progressive politics under the dictatorship, democratization period after 1987, under the anti-dictatorial democratic governments, and under the current neo-conservative government led by Lee Myung-Bak.
The start of neo-conservative government after the 10 years of democratic governments means Korean democracy went on a new cycle of “post-democratization”. The important character of this “post-democratization” period is that the hegemony of the anti-dictatorial liberal political forces, which have been in power for the past 10 years, has come to crisis, within the democracy bloc internally and in relation to the voters externally. However, because the progressive forces don’t have a sufficient popular base to replace the liberal forces in crisis, the popular demand for a strategy of “united front of democratic and progressive forces”, which means that the liberal political forces in crisis and progressive ones in short of new leadership make a alliance to confront the neo-conservative government, became very strong, and such strategy has been successful in some areas in the local election in June 2010.
Considering this complex situation, the author argued, firstly, the need for active, not passive,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united front” situation in the national politics as the first task. Secondly, concerning the solidarity formation within the community of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the need for a new “progressive united party” was suggested, in which the current “inner-parliament” parties such as Democratic Labour Party and Progressive New Party, and “outer-parliament”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come together, including socialists, civil society left and so on. Its new identity was been defined as “democratic left united party”. Thirdly, the author suggested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pular base of the progressive parties, the strategy for left hegemonic articulation is needed. This strategy can be realized in an effort of the “complex anti-neo-liberal politics”, in which anti-neo-liberal struggles and diverse democratic ones are combined.
진보 정치의 현 상황과 전략적 과제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 정치와 진보 정치의 관계’, ‘진보 정치 공동체와 진보 정치의 관계’, ‘대중 정치(대중 혹은 넓은 의미의 ‘사회’)와 진보 정치의 관계라고 하는 세 가지 측면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진보 정치가 개발독재 시기, 87년 이후의 민주개혁 국면, 반독재 민주정부 시기와 신보수(신우파) 정권으로의 이행이라고 시계열적 변화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서술하였다. 필자는 10년간의 반독재 민주정부 시기가 종결되고 MB정부로 상징되는 신보수 정권(신우파 정권) 시기로 이행한 것은 단순히 정부 차원의 변화를 넘어, 1987년 이후의 ‘민주화’ 시기가 ‘포스트-민주화’ 시기로 변화한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진보 정치와 관련하여 포스트-민주화 시기의 중요한 특징은 국민 정치 공간에서의 보수 정당의 헤게모니가 불안정하다는 점, ‘의회의 보수독점’이 해체되면서 반독재 중도자유주의 세력이 의회 내 다수파를 형성하게 되었으나 그러한 다수파적 지위가 균열되게 됨과 동시에-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형성된 “민주주의 블록 내에서의 민주당(중도자유주의 정당)의 내부-헤게모니”의 위기라고 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포스트-민주화 시기의 진보 정치의 과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는데, 첫째, ‘진보 정치의 국민화’와 관련하여, ‘연합정치’ 공간에의 적극적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둘째, 진보 정치 세력 공동체 내의 연대문제와 관련하여, “새롭게 민노당, 진보신당과 그에 포괄되지 않은 다양한 진보적 정치 세력들(시민사회 좌파와 노동좌파 등)을 통합하는 진보연합 정당을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설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의 성격을 ‘민주주의 좌파 연합정당’이라고 규정하였다. 셋째, “포스트-민주화 시기의 다양한 이반들을 결합시키는 ‘좌익적인 헤게모니적 접합’이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반신자유주의 투쟁과 다양한 민주적 생활정치의제들이 결합되는 ‘복합적 반신자유주의정치’ 속에서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4-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9 | 1.59 | 1.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29 | 2.393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