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동체주의 관점으로 형상화한 4·3항쟁사― 현기영의 『제주도우다』에 대하여 = History of the 4·3 Uprising in the Viewpoint of Communitarianism ― In regards to “Jejudouda” by Hyun Ki-young
저자
홍기돈 (가톨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9-395(37쪽)
제공처
현기영의 『제주도우다』는 공동체주의 관점에서 4·3을 다룬 장편소설이다. 작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제주도우다”라고 규정하는 이들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자신이 속한 패러다임 속에서 공동체의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제주 공동체문화를 당연하게 여기는 민중이다. 작가는 순환하는 자연의 질서에 근거하여 운영되는 민중의 일상을 깊이 있게 복원해 내고 있다. 두 번째, 공동체주의가 여러 사상 가운데 하나임을 자각하여 공동체주의에 입각하여 제주의 미래를 모색하는 식자층이다. 해방 직후 두 부류의 제주인들은 똘똘 뭉쳐 자치 전통에 입각하여 친일파를 징치하였고, 제주에서 ‘유일한 정부’ 역할을 수행하였던 인민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양한 자치 활동을 벌였다. 그렇지만 미군정은 제주인들이 추방한 친일파를 복권시켰으며, 인민위원회를 불법 단체으로 규정하여 탄압하였다. 작가는 4·3 전개 과정을 ‘복권된 친일파의 복수 vs 자치 전통에 입각한 제주인들의 저항’으로 파악하고 있다.
토벌과 항쟁으로 이어졌던 4·3을 겪으면서 제주 공동체는 해체되었다. 작가는 토벌대의 초토화 작전과 제주 공동체 해체가 동시에 진행된 것으로 제시한다. 토벌대는 저항군뿐만 아니라 피난민, 도피자, 중산간 마을 사람들을 뭉뚱그려 ‘좌익’으로 설정하여 학살하였는바, 해안가 마을 사람들을 민보단에 가입시킨 뒤, 민보단원에게 마을의 ‘좌익’을 학살하여 자신이 ‘우익’임을 증명하도록 강요했다고 서술한 것이다. 작가는 공동체가 파괴되는 과정을 섬뜩하게 그려내면서도 작품의 끝부분에서 ‘어머니 대지가 모든 죽음을 끌어안고 새 생명을 잉태하리라’는 희망을 남겨두고 있다. 자연의 순환에서 희망의 근거를 마련한 이와 같은 처리는 자연과 밀착한 제주 민중의 생활 방식의 연장이다. 한편 독립된 에피소드들이 하나의 큰 줄기로 수렴하는 대신 병립하면서 역사의 흐름 속에 배치되는 양상은 『제주도우다』의 구성상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징은 절박한 상황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매 순간 자율적 주체로서의 풍모를 유지하는 경향에 대응한다. 여러 공론장에서 펼쳐지는 대화 장면들 또한 등장인물의 자율성과 더불어 공동체문화의 자유를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종합한다면, 현기영의 『제주도우다』는 ‘자연, 자유, 자치’라는 공동체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구축된 세계라고 정리할 수 있다.
Hyun Ki-young’s “Jejudouda” is a full-length novel dealing with 4·3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arianism. Those who define their identity in the work as “Jejudouda”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it is a people who naturally acquire a sense of community in the paradigm of their own and take Jeju community culture for granted. The writer deeply restores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operating in the circulating natural order. Second, it is a group of people who realize that communitarianism is one of many ideas and seek the future of Jeju based on communitarianism.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 two groups of Jeju people gathered together to punish the pro-Japanese peoples based on the self-governing tradition, and organized the People’s Committee,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only government in Jeju. Howev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einstated the pro-Japanese peoples expelled by the Jeju people and oppressed the People’s Committee by defining it as an illegal organization. The author understan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4·3 as ‘restored pro-Japanese peoples revenge vs resistance of Jeju people based on self-government tradition’.
Through 4·3, which led to subjugation and uprising, the Jeju community was dismantled. The writer suggests that the operation of a punitive force and destruction of the Jeju community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writer has set up that the punitive force regarded not only the resistance group but also the refugees, the fugitives, the mountain villagers as a ‘left-wing’ and massacred them. And the writer described that the punitive force made the coastal villagers joined to the government group, and then the punitive forces forced the participants to slaughter the ‘left wing’ and prove that they were ‘right wing’. At the end of the work, the writer leaves the hope that ‘the mother earth will embrace all death and conceive a new life’, while drawing an eerie picture of the process of destroying the community. This treatment,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hope in the cycle of natur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lifestyle of the Jeju people who are close to nature.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independent episodes do not converge into one large stem but are scattered in the flow of history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composition of “Jejudouda”.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mposition correspond to the tendency of the characters to maintain their appearance as autonomous subjects at every moment. The dialogue scenes in various public spheres are also devices that show the autonomy of the characters and the freedom of community culture.
To sum up these characteristics, Hyeon Gi-yeong's “Jejudouda” is organized as a world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munitarianism such as ‘nature, freedom, and self-govern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