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에서 고찰한 洪大用의 「毉山問答」 = Hong Daeyong‘s Uisanmundap considering in interlocutory prose's creation tradition
저자
우지영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5-212(28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Uisanmundap(毉山問答)」 is Damheon Hong Daeyong(湛軒 洪大容, Joseon Dynasty's a pragmatist, 1731~1783)'s literary work which covers his philosophical thinking, scientific knowledge, and political idea. The work's main contents is discussion about "Inmulgyun(人物均)", the heliocentric theory, the steady state theory and "Yeokoichunchuron(域外春秋論)" which Heoja heard from Silong in Uimuryeo mountain(毉巫閭山).
In this treatise, I analyzed the work in a vein of interlocutory prose's creation tradition and the feature's embodiment aspect after classifying Uisanmundap into interlocutory prose.
In the first place when considering Uisanmundap's literary equipment, I found out the function of a character and a background which are descriptive structural elements. This work's dramatis personaes, Heoja and Silong, have personality and symbolism by name. The dramatis personaes's character is set due to name, "Heo(虛)" and "Sil(實)", except for fictitious effect due to imaginary person. And, this work raised descriptive character setting Uimuryeo mountain(毉巫閭山) which really exists as this work's background.
Next, I considered the development aspect of Uisanmundap's descriptive part and argument part. Uisanmundap's main peculiarity is argumentative character because the writer wrote this work to disclose the writer's a view of the world. But, the writer made much effort in making descriptive part's contents shapely to draw naturally Heoja and Silong's academic question and answer which is this work's main. In the argument part, the writer's idea was expressed as Heoja's question and Silong's answer. I think that this work expressed effectively massive theme and miscellaneous knowledge by a writing. But, these were possible because this work was written by catechetical description.
「毉山問答」은 조선후기의 실학자 湛軒 洪大容(1731~1783)의 철학적 사유·자연과학적 지식·사회정치 사상이 총망라된 작품이다. 중국과 조선의 접경지대에 위치해 있는 毉巫閭山에서 虛子가 實翁을 만나서 듣게 되는 人物均·地轉說·宇宙無限說·域外春秋論 등의 담론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산문답」을 ‘서술방식’이라는 분류 기준 하에 ‘문답식 산문’으로 갈래지운 후, 문답식 산문의 창작 전통과 그 특징의 구현 양상이라는 맥락 속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
우선 「의산문답」의 문학적 장치를 고찰함에 있어서 서사적 구성요소인 인물과 배경이 작품 속에서 기능하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작품의 등장인물인 ‘허자’와 ‘실옹’은 그 이름을 통해 드러나는 이미지만으로도 일정정도의 개성과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실재하는 인물이 아니기에 얻어지는 허구적인 효과 이외에, ‘虛’와 ‘實’이라는 이름에는 이미 등장인물의 성격이 확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품의 배경으로 실재하는 공간인 의무려산을 정해 놓음으로서 작품의 서사성을 제고하고 있다.
다음으로 「의산문답」의 서사부와 의론부의 전개양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의산문답」은 작가의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 즉 說理的인 목적에 의해 작성된 글이므로 이 작품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꼽아볼 수 있는 점은 ‘의론성’이다. 하지만 작품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실옹과 허자의 학술적 문답이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사부의 내용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데 꽤나 공력을 들이고 있다. 의론부에서는 허자의 물음과 실옹의 답변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작자 홍대용의 사상이 펼쳐지고 있다. 방대한 주제의 사안을 한 편의 글 속에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잡다한 소재의 지식을 요연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 글이 문답의 서술방식으로 작성되었기에 가능한 효과라고 판단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