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에 대한 음악미학, 사회학적 해석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esthetics of Music and Sociological Interpretation into Popular Music-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3(27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는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음악미학과 음악사회학으로 해석하고 그 이해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1980년대 한국교회는 경배와 찬양(Praise & Worsip) 운동을 시작으로 예배음악에 리듬악기인 드럼과 기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전통적인 예배 예전의 틀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면이 있어 세대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 1990년 이후 교회는 새로운 악기를 자연스럽게 수용했지만, 그에 따른 거부감과 불편함도 공존한 시기였다. 당시 현대 예배음악에 나타난 음악 현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해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리고 이 갈등의 중심에는 예술음악과 대중음악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사고가 깔려있었다.
새롭게 생겨난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있던 유사 대상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세기 대중음악사에 나타난 유사 현상을 살펴보려 한다. 1960년 이후 등장한 록 음악(Rock Music)을 시작으로 음악비평가들은 대중음악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의구심과 논란을 제기했다. 이후 대중음악이 독립된 음악학적 해석이 가능한지를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 중심에 아도르노(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달하우스(Carl Dahlhaus), 티보르 크나이프(Tibor Kneif)등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사이에 일어난 미학적 논쟁 중 크나이프의 이론인 ‘제2의 미학’을 통해 수용자 중심으로 현대 예배음악을 해석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사회는 근대사회와 달리 무엇을 기준화하고 판단하는 것을 거부하기에 현대 예배음악을 기존의 예배 예전의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은 음악학적으로 바라볼 때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대중음악은 예술음악과 달리 퍼포먼스와 상품성 등 상업적 아이디어를 그 미적 가치로 여기는 음악 현상이다. 현대 예배음악에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이 사용될 때 바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평가해야 한다.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는 E.D.M. (Electronic Dance Music)을 예배음악에 사용하는 등 그 음악적 시도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예배음악 현장에 새롭게 시도되는 음악 현상을 음악학적, 사회학적 현상으로 관찰하여 차세대 예배에 사용될 새로운 음악 형식에 대한 신학적 자리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면서 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aesthetics of music and sociology of music perspectives and present what were understood. In the 1980s, Korean churches began to use drum and guitar, rhythmic instruments for worship music, starting with the Praise & Worship campaign. But this caused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be accepted 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worship service. But since 1990, churches have accepted new instruments naturally. But subsequent repulsion and inconvenience coexisted in this period. Th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henomenon in then-contemporary worship music had not been made properly. At the heart of the conflict was the dichotomous thinking against art music and popular music.
So it would be desirable to study a newly emerging phenomenon through the existing similar targets. To understand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objectively, this study looks at the similar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c. Music critics posed curiosity and controversy in terms of artistic value against‘rock music’and‘popular music’appeared after the 1960s. Since then, it had been studied whether popular music could be interpreted independently. At the center of this were 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Carl Dahlhaus, and Tibor Kneif. Contemporary worship music came to be interpreted with audience-centered aesthetics of music through‘the second aesthetics,’Tibor Kneif’s theory, among the aesthetic arguments happening between art music and popular music.
The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refused to standardize or judge unlike modern society. Interpreting the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existing worship service perspective may not be enough from the musicological point of view. Popular music is the musical phenomenon that sees commercial ideas such as performance and merchantability as aesthetic value unlike art music. When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are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the very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for evaluating the value and meaning. Recently, musical attempts such as using EDM (Electronic Dance Music) for worship music have been varied among young people. Accordingly this study concludes with observing the musical phenomenon newly attempt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ields as musicological and sociological phenomenon and proposing to lay a place for theology to the new forms of music used in the next-generation worship.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