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단태아와 쌍태아 임신부의 영양섭취, 체중증가 및 신생아 체중의 비교 = Comparison of Maternal Dietary Intake, Weight Gain and Neonatal Birth Weight between Singleton and Twin Pregnanc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8-87(1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Background
The incidence of twin pregnancies has increased. Nutritional care for twin pregnancies is important but there is a paucity of information for twin pregnancies. We analysed that nutrient intakes of singleton, twin pregnancies and pregnancy outcomes.
Methods
The subjective were 98 twin pregnant and 78 singleton pregnant women receiving prenatal care from Samsung Cheil Hospital. They were grouped by gestational age and pregnancy type : group Ⅰ(3~12 weeks), group Ⅱ(13~28 weeks), group Ⅲ(28~42 week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 recall method. We investigated maternal serum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We correlated with maternal nutritional intakes, perinatal outcomes and newborn birth weights.
Results
The daily average energy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826.8kcal(85.1% of KDRIs) of singleton pregnant women, 1836.5kcal(85.9% of KDRIs) of twin pregnant women. Folate, iron and calcium intakes of singleton and twin pregnant women were 243.0㎍/d:257.1㎍/d, 13.2mg/d:13.7mg/d, 628.8mg/d:634.3mg/d, respectively. These nutrients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wo pregancy types, but levels of intakes were lower than those of KDRIs. Gestational age had a great influence on birth weight of singleton and twin (p<0.001).
Conclusion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risk of the birth of premature and shortening of gestational age in twin pregnancies. We suggest that systematic and different nutritional program for twin pregnancies are needed.
연구배경
저 출산 문제와 함께 고위험 임신 군에 속하는 쌍태임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쌍태 임신에 대한 영양 관리가 중요하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쌍태 임신부와 단태 임신부의 모체의 영양소 섭취와 임신결과 및 신생아 체중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모자영양 및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연구 대상자는 2005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는 건강한 쌍태 임신부 98명과 단태 임신부 78명을 선정하였다. 제 1삼 분기(임신 3주~12주) 임신부를 1/3분기, 제 2삼 분기(임신 13주~28주) 임신부를 2/3분기, 제 3삼 분기(임신 28주 이후) 임신부를 3/3분기로 나누어 이들에 대한 식이섭취 조사는 24 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으며, 임신부의 혈청 콜레스테롤, 단백질, 알부민 및 글로불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 과
일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단태 임신부는 1826.8kcal(한국인 영양섭취기준량: KDRIs의 85.1%)로 쌍태 임신부 1836.5kcal(KDRIs의 85.9%)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단태 임신부와 쌍태 임신부의 일일 엽산, 철분, 칼슘의 섭취량은 각각 243.0㎍/d:257.1㎍/d, 13.2mg/d:13.7mg/d, 628.8mg/d:634.3mg/d으로 두군 모두 KDRIs 보다 낮았다. 신생아 체중은 단태아가 3376.1g, 쌍태아의 경우 두 명의 신생아의 평균이 2314.9g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재태기간은 단태아와 쌍태아 모두 신생아 체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P<0.001).
결 론
쌍태 임신의 경우 단태 임신에 비해 재태기간이 짧은 조산의 위험이 따르므로 쌍태 임신에 대해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영양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1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4 | 0.80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