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전통놀이의 스토리텔링화와 문화콘텐츠재생산의 가능성 -미국계 한국아동문학 작가린다 수 박의 작품을 통해 = Storytelling of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and Its Possibility of Reproduction into Different Cultural Content-in Korean-American Author Linda Sue Park`s Children`s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1-345(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현대는 스토리텔링의 시대로, 다양한 소재의 스토리텔링이 각 분야에서 여러가지 콘텐츠로 확장, 재생산되어 소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계 아동문학 작가 린다수 박이 소설 속에서 사용한 한국 전통놀이문화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서사적 전략과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것을 다른 문화콘텐츠로 재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진단해 보았다. 우선 린다 수 박은 전통놀이라는 소재를 소설의 제목으로 전경화시켜 미국독자들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며 스토리텔링을 이어 나간다. 또 서술기법에 있어서 동일화와 차별화라는 양가형태를 취하고 있다. 『널뛰는 아가씨』, 『연싸움』속의 한국전통놀이는 서양의 ``Seesaw`` ``Kite Flying``와 놀이형태가 같아서 주류문화권의 청소년들에게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 이는 소수민족이 이민족 사이에서 정착을 하기 위한, 즉 주류사회에 일차적으로 동화가 되고자 하는 동일성 강화의 기제로 놀이문화를 사용했던작가의 서사전략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반대로 전통놀이를 통해서 고유한 민족문화로서의 차별, 구별성도 작품 속에 드러내고 있다. 즉, 전통 놀이문화가 전체 서사의 근원적 맥락을 구성하면서 조선조 군주국가의 고유한 가치관을 서로 잘 교직시키고 있어서 미국 독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이질문화로 다가가는 차별성 기제로도 작동되고 있다. 아울러 작가는 이러한 전통놀이를 통해서 세계 모든 아동들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와 자기성장을 이루는 이니시에이션 과정을 보여준다. 미성숙했던 여주인공은 ‘널뛰기’와 ‘윷놀이’를 통해서 바깥세상 엿보고, 마침내 내적, 외적 갈등을 겪고 한 개인으로서 사회화되어 간다. 또 ‘연날리기’와 ‘제기차기’와같은 놀이를 통해 호연지기와 정당한 스포츠 정신을 기르고, 남성성을 드러내면서도 권위주의적 관점을 해체시키는 소년의 모습은 주인공들의 성장을 잘 보여주는 부분임과 동시에 미국 독자에게도 한국의 전통 놀이 문화가 함유하고 있는 정신적 고아함을 깨닫게 해준다. 린다 수 박의 작품 속에 서술된 한국 전통놀이문화는 현대 문화콘텐츠가 가진 코드와 공통점이 많다. 생동감 있는 총천연색 시각효과와 공감각적 묘사, 유머와 재치의 문체, 순기능적 승부의 세계 담지가 그 요소들이다. 이런 점들은 현대 아동들의 감각적인 정서에 매우 밀접해 있어서 대중적 놀이문화인 에니메이션, 영화, 비디오 게임,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재생산하는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Modern era has become literally the storytelling era, that varieties of storytelling have broadened their spectrum and have re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different types of media. This study has investigated narrative meanings and techniques of the storytelling in regards to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in Linda Sue Park’s children``s literature.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ed to diagnose possibilities of reproduction into different culture contents. First, the novel has drawn curiosity of American readers with the titles of traditional plays in Korean culture. It uses two contradicting narrative techniques like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Traditional plays introduced in <Seesaw Girl> and <Kite Fighters> are very similar to the western plays like seesaw and kite flying in western culture, making the novel more approachable to those teenagers. Thi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narrative techniques that author used to strengthen identification with the majority as herself being part of minority in the United States. Same time, she reveals discrimin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unique ethnic culture through this cultural games. This cultural plays seem to configure the underlying context of the novel and transpose Korean dynasty’s unique values. This makes the novel to be more interesting and more culturally unique to western readers. In addition, author shows the initiation process of becoming self grown and universal emotions that children all over the world can empathiz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by bringing these cultural plays. The immature girl in the novel has glimpsed the outside world through ’seesawing’ and ‘a game of yut’, experience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finally become a member of society. The boys in the novel learn sportsmanship from ‘Kite Flying’ and ‘Kicking zegi’, and become masculine yet destroy authoritarian perspective. All of the above show main character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enlightens the western readers of spiritual elegance in Korean cultural plays.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contemporary culture code with the way Linda Sue Park narrates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in the novel. Such as vivid, full color visuals and spatial depictions, humorous style writing, and functional competition are the examples of similarities. Because these are very close to modern children’s sensual emotion, this novel can act as a text which will help reproducing newer and more diverse cultural contents such as animation, movies, video games, and sports gam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