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전후문학과 문화 양상 = Aspects of Post War Literature and Culture in Daejeon : Foucused on the First Issue of The Literary Hoseo and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51(27쪽)
제공처
본고에서는 『호서문학』 창간호와 대전문화원의 자료를 중심으로 1950년대 대전지역의 문학적 특징과 문화 양상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1951년에 ‘호서문학회’의 창립과 1952년 『호서문학』 의 등장 그리고 대전문화원의 설립은 대전의 문학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즉, 이로 인해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폐화된 대전의 문학, 문화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먼저 1950년대 초 대전지역 문학과 문화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호서문학의 발간 배경과 발간 과정, 필진과 그의 작품들을 통해, 그리고 대전문화원의 자료를 통해 1950년대 대전의 문학의 특징뿐만 아니라 문화 양상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용래, 한성기, 권선근의 작품을 통해 습작기 작품의 양상을 살펴보았고, 지헌영의 국문학 연구를 통해 교육문화의 양상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 문학과 문화의 정체성을 일정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서문학 창간호에 발표된 글과 대전문화원 자료들에서 보이는 특징은 대부분 순수 이념을 담아내거나 서구의 자유주의를 표방하였다는 점이다. 정훈의 시와 양기철의 소설에서 전후 현실의 우울한 모습을, 한성기, 임강빈의 시와 권선근의 소설에서 자연과 인간애를 노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전문화원 자료들에 담긴 문화 양상은 대체로 서구문화를 지향했으나, 이후 대전문화의 독자적인 모습을 담아내는 방향으로 나아갔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의 문학과 중앙문학, 대전문화와 서구문화가 서로 혼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전쟁으로 말미암아 중앙문인들이 대전에 머무르면서 대전 문인들과 교류하였고, 이러한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호서문학 창간호가 발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미국공보원이 1953년에 대전문화원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대전의 문화는 거의 미국의 문화를 반영한 서구문화였다. 이러한 점들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1950년대 전반 대전지역의 문학과 중앙문학, 대전지역의 문화와 중앙문화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literary features and cultural aspects of Daejeon in 1950s through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and the first issue of The Literary Hoseo(호서문학). The founding of Hoseo 'Literary Society' in 1951, the appearance of The Literary Hoseo in 1952, and the foundation of Daejeon cultural center, all together, affected Daejeon's literature and culture. As a result, literature and culture of Daejeon which was devastated by Korean war brought about changes.
First, we have examined the formation of Daejeon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early 1950s. Through the background and procedure of publishing The Literary Hoseo, the writers and their works, and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we confirm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cultural aspects of Daejeon literature in 1950s. We observed the aspects of Bak Yongrae, Han Seonggi, and Gwon Seongeun's work before they made their debut and educational culture through Ji Heonyeong's study of Korean literature.
Also, to some extent, we confirmed Daejeon's literature and cultural identity in the early 1950s. Composition in the first issue of The Literary Hoseo and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show non political ideology or western liberalism. Jeong Hun's poem and Yang Gicheol's novel depict post war heavy hearted realities and Han Seong-gi's, Im Gang-bin's poem and Gwon Seong-eun's novel exhibit humanity as well as nature. The data from Daejeon cultural center generally inclined toward western culture in the first place but changed to expressing independent features of Daejeon culture.
Also, we observed that Daejeon's literature and metropolitan literature, Daejeo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were intermixed. Due to the Korean war, metropolitan literati stayed in Daejeon and interacted with Daejeon literati which influenced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Hoseo directly or indirectly. Furthermore, before the relocation of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USIS) to Daejeon cultural center, Daejeon culture reflected western culture focused on US culture. Study on these points will become the foundation in comparing Daejeon literature with metropolitan literature and Daejeon culture with metropolitan culture in the early 1950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