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 1 : 한국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 반응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KDC
326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77(25쪽)
제공처
한ㆍ중 수교 이래 한국의 대중음악이나 TV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서 또는 직접적인 인적 교류를 통해서 중국에 한국과 한국문화가 많이 알려졌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일고 있는 ‘韓流’ 현상의 주요한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여지는 한국의 TV프로그램에 대해서 중국 시청자들이 과연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韓流’의 객관적 실체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중국에 수출된 드라마들은 각각 주 시청자 층이 상이하지만 대개는 드라마의 출연자들이 갖고 있는 직업적 특성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거기에 맞는 시청자 층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시청률이 청소년층과 장년층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의 경우 한국 드라마가 지닌 현대적인 요소들 즉, 출연자의 세련된 용모와 패션 그리고 높은 생활수준 등이 동경의 대상으로서 크게 어필한 반면, 장년층에서는 한국이 지닌 강한 가족공동체적 성격과 유교적 가족질서 등에 대한 호감 때문에 시청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는 별로 나아진 것 없이 몇몇 스타와 그들이 출연한 대중적 상품들만 중국에 알려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한국문화의 저변과 기본토양이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뿌리가 너무 약하다는 우려의 시선이 중국 내 젊은 층에서까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현재 중국이 취하고 있는 자국의 정치적ㆍ문화적 환경과 문화산업에 대한 보호 육성정책을 고려한다면, 중국의 WTO 가업을 계기로 무작정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만 쓰려고 할 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의 가변적이고 탄력적인 문화외교 정책에 대한 적절한 이해와 대응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는 “寒流”에 대한 지나친 기대를 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정서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오랫동안 우호적인 문화교류를 지속해 온 전통을 지니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자주적이고 호혜적인 관계에서 일회성이 아니라 앞으로 5년,10년 아니 그 이상의 먼 미래를 내다보면서 꾸준한 협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의 문화상품이 중국에서 ‘저질문화’의 대명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가 눈앞의 상업적 이익보다는 국가적 이미지 제고에 주력하면서 자국 문화산업의 기반을 보다 공고히 하고 구조적인 차원에서 수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써야 할 것이다.
Chinese people know Korea and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pop music, television dramas, films or personal touch after newly establishing South Korea- China relationship in 1992. This paper analyzes the reponse of chinese audience about Korean television programs aired in China. The Chinese people love Korean cultural products including television dramas and pop music, then this phenomena is called ""Hanliu(it means Korean syndrome)"" in China
The target audience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aired in China are diversified by the theme of dramas. Especially, old people and youth like to watch Korean television dramas. The reason young generations like to watch Korean televison dramas is that the dramas show the life style of high society, fashion and Korean stars. On the contrary, old generations like to see the life of Korean traditional family through Korean television dramas. Though the several Korean television dramas are popular in China, I doubt the image of Korea is not changed but only some of Korean stars are well known.
We should remember the chinese youth look up to Americ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compared to Korean culture because the basis of Korean culture is very weak. Also, the Chinese government protects their cultural industry to export their products abroad. However, we have only focused on the export of Korean television dramas to China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cultural policy of China and prepare how to react their cultural policy.
We may not overestimate the phenomena of ""Hanliu."" South Korea and China have cultural similarities and this is the adventage of culture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South Korea and China have good relationships for a long time and should keep good relationships. Therfor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more the image of Korea than the short-term profits of our cultural industry when the government make a cultural polic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