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창원지역 과거합격자 고찰 = A Study on the People Who Passed State Examination during in Changwon Area in the Joseon Dynasty
저자
백지국 (경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9-432(3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thesis takes a look at the status of the Jaejisajok (retired noble class or renowned local class) in the Changwon Area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an important way of sustaining and improving the status of noble class during the Joseon Era. During the Joseon Era, the Changwon Area produced 32 persons who passed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and 12 persons who passed civil service examination. When comparing to the overall people who passed such examinations, the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showed extremely low rate of 0.04~0.08% whil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ad 0.03~0.07%, but this fact displayed that those people who passed such examinations within the region were a group of extreme rarity as well as a great honor for the individual, family and the applicable region. For the renowned families that produced many peopl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rom the Changwon Area, there are Changnyeong Cho family, Nampyeong Moon family, Bulbipa of Gimhae Kim family, Ihyeongpa of Gimhae Kim, Changnyeong Jang and so forth. These families enhanced the class of respective family in the Changwon Area with the success in the state examination as the steppingstone and they led the Hyangchon (local community) through local planning, list for government position and others. However, the periods of passing the examinations are concentrated mostly in the 15•16th century, and around the mid-16th century, main families in respective region showed the phenomenon to transit to different regions on the basis of marriage and residency. As a result, The Jaejisajok forces in the Changwon Area gradually declined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drastically declined from the 17th century.
더보기본 논문은 조선시대 양반의 신분유지와 향상에 있어 중요한 매개체였던 科擧를 통해 창원지역 在地士族의 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창원지역에서는 생원·진사시 32명, 문과 12명이 배출되었다. 전체 합격자와 비교해 보면 생원·진사시는 0.04~0.08%, 문과는 0.03~0.07%에 해당되는 매우 낮은 수치이다. 이는 지역 내에서 합격자가 매우 희소성을 지닌 집단인 동시에 과거합격이 개인과 가문, 나아가 고을 차원에서도 큰 영예였음을 보여준다. 창원지역에서 과거합격자를 많이 배출한 가문으로는 창녕조씨·남평문씨·김해김씨 불비파·김해김씨 이형파·창녕장씨 등이 확인된다. 이 가문들은 과거합격을 매개로 창원지역 내 가문의 격을 일신시키며, 鄕案 입록 등을 통하여 향촌사회를 주도해 갔다. 합격 시기는 대부분 15·16세기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16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지역의 주요가문들의 이거, 현달한 인물의 부족과 인조반정 이후 중앙정치의 변동 등에 영향을 받아 17세기부터 과거 합격자 수가 급격히 줄어든다. 이로 인해 합격자를 배출한 가문과 그렇지 못한 가문 간의 격차는 점차 좁혀져 갔으며, 창원지역재지사족은 사회적 지위 유지를 위해 여러 문중 활동에 전념하게 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