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553년 백제·고구려의 百合野 전투 검토 = The Consideration on the Battle of Baekhabya(百合野) between Baekje and Goguryeo in 553
저자
방용철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1-397(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ccoriding to Kinmei-ki (欽明紀) of Ilbonseogi(日本書紀), October in 553, there is an article that Buyeo Chang, the prince of Baekje, attacked Goguryeo and won at the battle of Baekhabya(百合野). Most of researchers admit the material as a historical fact that between Baekje and Goguryeo, there was the pitched battle and then the king of Goguryeo retreated above Dongsung Mountain. But some of researchers deny the article about the battle of Baekhabya or argue that the time of the battle, October in 553, should be modified. They think that because Silla set up Shinju(新州) in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n July, 553, it is highly likely that Goguryeo and Baekje did not border at the time. In addition, they assume that since King Seong was preparing for the battle of Gwansanseong in the following year, he did not raise up the large-scale troops. But only by circumstantial evidence, the denial about the contents of Ilbonseogi and the modification of the time of battle can not be agreeing.
King Seong who had trouble due to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illa intended to demonstrate the military force of Baekje through the battle against Goguryeo. Furthermore, on the pretext of victory at the battle, Baekje promoted the plan to conquer Silla by organizing allied forces with Wa(倭) and Gaya(伽倻) and to recover the Han River basin. The battle of Baekhabya was not only a battle between Baekje and Goguryeo, but it also was significant as a prelude to the battle of Gwansanseong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military movement of Silla was also an important variable in Baekje's attack on Goguryeo. To improve temporary relations, King Seong created an advantageous environment by sending a princess to King Jinheung of Silla to marry and by establishing a military base after defeating Goguryeo troops in Baekhabya, which is believed to be a border area between the three kingdoms.
『日本書紀』 欽明紀에는 553년 10월, 백제의 왕자 餘昌이 고구려를 공격해 승리하였다는 ‘百合野 전투’ 기사가 보인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백제와 고구려 사이의 대규모 會戰이 벌어졌고, 고구려왕이 東聖山 위까지 퇴각하였던 일이 역사적 사실이라 받아들이고 있다. 다만 백합야 전투 기사를 부정하거나 553년 10월의 시점을 고쳐보아야 한다는 지적도 일각에서 계속되고 있다. 553년 7월에 신라의 新州가 한강 하류 유역에 설치되었으니 고구려와 백제의 영역은 닿아있지 않았을 공산이 크고, 성왕은 이듬해 신라와의 管山城 전투를 준비 중이었으므로 553년에 큰 병력을 일으킬 여력은 없었으리라 보는 것이다. 그러나 정황상 근거만으로 『일본서기』의 기사를 부정하거나 시점을 수정해 보는 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고구려와 신라의 通好에 직면하여 불리한 처지에 빠졌던 성왕은 고구려와의 정면 대결을 통해 백제의 군사적 역량을 대내외에 과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勝戰을 명분으로 왜 및 가야 세력과 연합군을 구성하여 신라를 정벌하고, 한강 유역을 수복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였다. 백합야 전투는 백제와 고구려만의 싸움에 그치지 않고 이듬해 있을 관산성 전투의 前哨戰으로 중대한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이에 백제군의 고구려 공격에는 신라군의 동향 또한 핵심적인 변수가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성왕은 신라 진흥왕에게 王女를 시집보내 일시적인 관계 봉합에 나서는 한편 삼국간의 접경지로 추정되는 백합야에서 고구려군을 물리친 후 군사적 거점을 구축하는 등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