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COVID-19가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1년-2022년)- = Factors Influencing Youth Obesity During COVID-19-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2021-2022) -
-연구목적:본 연구는 2021년(사회적 거리두기 기간)과 2022년(단계적 일상회복 기간)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 현황과 비만 유무에 따른 건강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질병관리청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2021년(17차)과 2022년(18차) 103,86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ver.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2021년(사회적 거리두기)에 비해 2022년(단계적 일상회복)이 비만 위험이 낮았으며 위험비는 (OR=0.87, 95% CI 0.83-0.91)이었다. 여자에 비해 남자의 위험비는 (OR=2.45, 95% CI 2.34-2.57)이었다. 중1에 비해 중2가 오히려 낮게 나왔고 위험비는 (OR=0.88, 95% CI 0.81-0.96)이며 나머지 학년은 유의하지 않았다. 대도시에 비해 군지역의 위험비는 (OR=1.35, 95% CI 1.23-1.47)이었다. 경제 수준 ‘하’에 비해 ‘중’, ‘상’의 위험비가 ‘중’(OR=0.88, 95% CI 0.83-0.94), ‘상’(OR=0.89, 95% CI 0.83-0.95)이었다. 학업 수준 ‘하’에 비해 ‘중’, ‘상’의 위험비가 ‘중’(OR=0.82, 95% CI 0.78-0.87), ‘상’(OR=0.70, 95% CI 0.67-0.74)이었다. 단맛 음료 섭취 안 함에 비해 3회 이상의 위험비는 (OR=0.91, 95% CI 0.85-0.96)이었다. 패스트푸드 섭취 안먹음에 비해 1-2회와 3회 이상 섭취의 위험비는 1-2회(OR=0.93, 95% CI 0.88-0.98), 3회 이상(OR=0.81, 95% CI 0.76-0.86)이었다. 주 중 하루 60분 이상 운동은 3회 이상 실천에 비해 안 함과 1-2회의 위험비는 안 함(OR=1.12, 95% CI 1.05-1.18), 1-2회(OR=1.16, 95% CI 1.10-1.22)이었다. 체중조절 노력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 경우 위험비는(OR=2.36, 95% CI 2.27-2.47)이었다. 주관적 건강인지에서 본인의 건강이 건강하다고 대답한 경우에 비해 건강하지 않다고 대답한 경우 위험비는 (OR=1.86, 95% CI 1.78-1.94)이었다.
-결론:사회적 거리두기 기간보다 단계적 일상회복 기간이 비만 위험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새로운 감염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하여 COVID-19 시기의 경험을 토대로 감염 관리 정책과 비만 및 건강 예방을 위한 정책의 사이에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의 비만 예방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신체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고 균형 잡힌 급식을 통해 건강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비만을 꾸준히 관리할 필요가 있겠고, 비만 예방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of obesity and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obesity in adolescents in 2021 (social distancing period) and 2022 (gradual recovery period).
-Methods:This study analyzed 103,869 adolescents from the 2021 (17th) and 2022 (18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data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ver. 27.0 program.
-Results:Compared to 2021 (social distancing), the risk of obesity in 2022 (gradual recovery) was lower, and the risk ratio was (OR=0.87, 95% CI 0.83-0.91). The risk ratio for men was (OR=2.45, 95% CI 2.34-2.57) compared to women. Middle school 1st grade was lower than middle school 2nd grade, and the hazard ratio was (OR=0.88, 95% CI 0.81-0.96), and the grade of the child was not significant. The hazard ratio of the military area was (OR=1.35, 95% CI 1.23-1.47)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The hazard ratio of the ‘middle’ and ‘upper’ economic level was middle (OR=0.88, 95% CI 0.83-0.94) and high (OR=0.89, 95% CI 0.83-0.95) compared to the ‘low’ economic level. The hazard ratio of the ‘middle’ and ‘upper’ academic level was middle (OR=0.82, 95% CI 0.78-0.87) and high (OR=0.70, 95% CI 0.67-0.74) compared to the ‘low’ academic level. The risk ratio for consuming sweetened beverages 3 or more times compared to not consuming them was (OR=0.91, 95% CI 0.85-0.96). The risk ratios for consuming fast food 1-2 times and 3 or more times compared to not consuming them were 1-2 times (OR=0.93, 95% CI 0.88-0.98) and 3 or more times (OR=0.81, 95% CI 0.76-0.86). For exercising 60 minutes or more a day during the week, the risk ratios for not exercising 3 or more times and 1-2 times were none (OR=1.12, 95% CI 1.05-1.18) and 1-2 times (OR=1.16, 95% CI 1.10-1.22). The risk ratio for making weight control efforts compared to not making weight control efforts was (OR=2.36, 95% CI 2.27-2.47).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the risk ratio for those who answered that their health was not healthy was (OR=1.86, 95% CI 1.78-1.94).
-Conclusion:The risk ratio for obesity was lower during the gradual recovery period than during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In anticipation of the possibility of new infectious diseases appearing in the future, a balance will be needed between infection control policies and policies for obesity and health prevention based on th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obesity in adolescents,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physical activity can be promoted at school and to educate them to have healthy eating habits through balanced meals.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stently manage obesity through periodic health checkups, and comprehensive efforts by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will be needed to prevent obes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