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灆溪書院의 성격변화와 一蠹 鄭汝昌의 위상 = The Changes of the Nature of Namgyeseowon(灆溪書院) and the Status of Jeong Yeo-chang(鄭汝昌)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7-315(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Most “Seowon (書院),” or lecture halls, including Namgyeseowon (灆溪書院) directly played an educational role being a high-level educational institution, a publishing house or a library in the region in addition to the operational or ruling body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countryside that caused countless problems, and by forming connections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eowon also functioned as a local base for activities of academic and political sects. In the aspect of the Seowon being the local base of academic and political sects in particular, at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and process, Namgyeseow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chool of Nammyeong (南冥學派) or the political sector Bugin Power (北人政 權); however, after the Injo Restoration (仁祖反正) in 1623, it became the Namin faction (南人)-affiliated Seowon; and after the Power Shift in the Year Gapsul (甲戌換局) in 1694 and the Musin Revolt (戊申亂) in 1728, its nature went back to the Noron faction (老 論)-affiliated Seowon. From this, how Namgyeseowon changed its identity and why it had to change can be known that they a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Namgyeseowon. With that said,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the nature of Namgyeseowon and its process, and has as an objective to confirm how the status of the Confucian scholar Jeong Yeo-chang (鄭汝昌, 1450∼1504), who was the center of Namgyeseowon, settled in such changes of Seowon.
The discussion starts with the nature of Namgyeseowon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as it centered on figures that built the place, followed by close investigations on the changes of its nature, from the Namin faction- to the Noron faction-affiliated, as it was transmitted to later generations. As a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Jeong Yeo-chang in comparison with the court official and Neo-Confucian scholar Kim Goeing-pil (金宏弼, 1454~1504). Kim Geoing-pil was able to maintain a considerably high status in his hometown of Hyeonpung and in the mid-Nakdong River area such as Seongju and Hapcheon, and was honored by his maternal great-grandson Jeong Gu (鄭逑, 1543~1620), who directly inherited philosophies of Chinese scholars Cheng Yi (程頤) and Zhu Xi (朱熹) at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On the contrary, Jeong Yeo-chang was without visible successors and lost political and academic foundations after the fall of the School of Nammyeong, so his status could not be improved. It is estimated that the fall of the School of Nammyeong influenced not only the transmission of the Nammyeong Studies (南冥學) but also the changes of the nature of Namgyeseowon and the status of Jeong Yeo-chang.
남계서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서원은 지역의 고등 교육기관, 출판사및 도서관이라는 직접적으로 교육과 관련된 역할 외에, 수많은 부작용을 불러일으킨 향촌 유림의 지역운영 혹은 지배 기관으로 작용하였고, 중앙 정계와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학파와 정파 활동의 지역 거점 역할까지 수행하였다. 특히 학파와 정파 활동의 지역 거점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남계서원의 경우, 건립과정이나 건립초기에는 남명학파나 북인정권의 영향아래에 있었지만, 인조반정이후에는 남인계 서원으로, 戊申亂과갑술환국이후에는 다시 노론계 서원으로 그 성격이 변화했다. 이러한사실에서 보자면 남계서원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변화시켜갔는지, 그리고 왜 남계서원이 그렇게 변화해 갈 수밖에 없었는지는 남계서원을이해하는 데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주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점에서 이 글은 남계서원의 성격변화와 그 과정을 살펴보고, 남계서원에 주향되고 있는 정여창의 위상은 그와 같은 서원의 변화 속에서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논의는 먼저서원을 세운 인물들을 중심으로 창건 당시 남계서원의 성격을 살펴본후, 이것을 이어 후대로 내려가면서 남인계 서원과 노론계 서원으로 그 성격이 변해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고, 마지막 결론에서김굉필과의 비교에서 정여창의 위상을 살펴보고 있다.
김굉필의 경우 그의 진외증손인 정구에 의해 천곡서원과 도동서원등에서 정이와 주희를 직계승한 인물로 추존되는 모습과 함께, 고향인현풍과 성주ᆞ고령 등의 낙동강 중류 지역에서 상당한 위상을 가질수 있었다. 반면에 정여창은 남명학파의 몰락 이후, 뚜렷한 계승자의부재와 함께 정파와 학파적 기반마저 상실함으로써 더 이상의 위상제고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남명학파의 몰락은 남명학의 전승뿐만 아니라, 남계서원의 성격변화와 정여창의 위상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던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