衡平理論에 있어서 統制位置와 歸因情報의 役割에 관한 實驗硏究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oles of Locus of Control and Attributional Information in Equity Theory
저자
李慶喜 (人事 ·組織)
발행기관
昌原大學校 産業經濟硏究所(INDUSTRIAL RELATIONS INSTITUT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8
작성언어
Korean
KDC
32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92(74쪽)
제공처
個人이 組織을 위해서 들인 것과 얻은 것의 비율을 다른 사람의 비율과 비교해서 같게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이 衡平理論의 핵심이다. 衡平理論은 여러 理論들을 배경으로 해서 구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初期에는 理論의 統合에 따르는 체계상의 미비점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의 괄목할 만한 수정과정을 거쳐서 組織行動의 動機過程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는 理論중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動機過程에 있어서 社會的 要因을 중요시 함으로써 다른 動機理論들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공헌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금까지의 硏究에서는 이 理論이 예언하는 行動方向을 지지해 주는 硏究結果들이 많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衡平理論은 아직도 치밀하게 체계화 되지 못한 면이 있어서 이 理論에 입각해서 組織行動의 方向을 구체적으로 예언하기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즉 이 理論이 硏究ㆍ開發되어야 할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올수록 이러한 많은 문젯점들이 수정ㆍ보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왈스터」와「베르사이드」(Walster & Berscheid & Walster, 1976)는「애담스」(Adams, 1965)의 전통적인 理論을 수정해서 現存하는 몇 개의 認知理論들을 통합할 수 있는 일반성 있는 社會行動理論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强化理論, 認知一貫性理論 등을 기반으로 해서 衡平理論을 새로운 형태로 再構成하고 있다.「애담스」(Adams, 1965)도 衡平理論이란 交換이 일어날 수 있는 어떤 社會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다른 학자들에 앞서서 지적한 바 있다. 이 외에도「레벤탈」(Levethal, 1976),「굳맨」(Goodman, 1977),「토나우」(Tornow, 1971),「모우데이」(Mowday, 1979),「캠벨」과「프리챠드」(Campbell & Pritchard, 1976),「엇니」와「키드」(Utne & Kidd, 1980),「애담스」와「프리드만」(Adams & Freedman, 1976),「바이스」와「엘더」(Weiss & Elder, 1984),「휴즈만」과「헷필드」그리고「마일즈」(Huseman & Hatfield & Miles, 1987)등 많은 學者들이 衡平理論의 수정과 개발에 많은 노력을 해 오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硏究들의 경향을 볼 때 衡平理論이 組織行動硏究를 위해서 보다 많
은 기여를 할 수 있는 理論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社會過程은 文化나 社會의 差異에 관계없이 그 중요성이 인정되는 것이지만, 각 社會文化마다 독특한 社會的 규범과 관습을 지닌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社會的 相互作用 過程에서 衡平規範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려면 각 사회문화권의 獨特性에 유의해야 한다.
우리 韓國社會는 社會的 變化가 극심하여 社會過程에 대한 이해가 組織構成員의 動機를 관리하는데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衡平理論이 보다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社會文化的 背景에서 衡平의 規範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며 혹은 이에 대한 代案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硏究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觀點에 비추어 本 論文에서는「애담스」의 衡平理論을 중심으로 그 핵심적 理論을 要約ㆍ檢討하여 보았으며, 또한 전통적인 衡平理論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변천ㆍ발전되어 왔는가도 檢討하여 보았다. 그리고 최근까지의 衡平理論에 대한 經驗的 硏究가 어떠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이러한 衡平理論이 韓國的 文化와 狀況 下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적용되는지를 알기 위해서 産業體 부설 실업고등학교 學生인 女工들을 대상으로 實驗的 硏究를 수행하여 보았다. 이러한 實驗硏究의 結果는 대체로 전통적ㆍ핵심적 理論이 지지되고 있었으며, 특히 統制의 位置란 性格變數가 종업원 不衡平 緊張과 作業의 質과 量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상황변수인 歸因的 情報에 대해서는 그 有意水準이 낮아 硏究假說이 지지되지 못했지만 그 반응의 절대치의 差異에 있어서는 本 硏究의 假說, '內部的ㆍ意圖的 歸因集團이 外部的ㆍ非意圖的 歸因集團보다 긴장의 양이 많고 작업의 양과 질이 떨어질 것이다'라는 가설과 같은 方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한번의 연구결과로 확언할 수 없지만, 한국적 상황에서 실시한 실험연구의 결과도 西歐社會에서 실시한 실험연구의 결과와 비슷한 결과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硏究結果로부터 얻을 수 있는 經營管理上의 시사점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衡平理論은 企業經營者들로 하여금 企業組織에서 일어나는 社會的 過程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주며 또한 직무동기가 사회관계를 통해서 역동적으로 결정되고 변화된다는 점을 강조해주고 있다. 즉 근로자들의 動機가 他人과의 比較過程에서 결정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설정하고 있는 비교대상과 근로자들의 準據集團(reference group)에 대해서도 企業經營者가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社會的 比較過程을 통해서 衡平의 知覺問題가 생기기 때문에 企業經營者는 종업원들이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확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여기에서 객관적인 공평성보다는 상황에 대한 종업원의 知覺이 더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업원들로 하여금 衡平의 原則에 맞게 대우받고 있다고 확신시키려면 먼저 전반적인 衡平의 水準과 衡平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그들의 지각내용을 알아야 한다. 그 다음에 지각의 內容에 따라 알맞는 方法을 선택해서 報償의 管理가 衡平의 原則에 맞는다는 점을 이해시켜야 한다.
세째, 금전적 보수체계를 管理하는데 있어서 衡平의 原理가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입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기존의 보수체계가 衡平의 原則에 맞게 운영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不衡平을 意圖的으로 형성시킴으로써 不衡平을 經營管理上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애담스」와「프리드만」(Adams & Freedman. 1976)는 不衡平을 수단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를 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즉 不衡平을 意圖的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상대방으로부터 衡平을 추구하기 위한 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방에게 過多報償을 받고 있다고 느끼도록 意圖的으로 보상에 해당하는 결과들을 제공함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보답하고자 하는 의무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다섯째, 종업원들을 획일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종업원들 個人的인 特性(personality)과 시간과 공간적 상황인 상황적 변수를 잘 통합하므로서 보다 종업원의 관리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Equity theory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ajor formulations relevant to predicting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in industrial/organizational setting. Though equity theories have been proposed by Homans(1961), Jacques(1961), Patchen(1961), and Adams(1963, 1965), Adams' formulation has stimulated great amount of researches because of its relatively explicit clarity and initial application to business relationships (i.e., employer-employee exchange relationship).
Adams and his associated dealt with inequity rather than equity because they believed their theory was derived from the postulates of cognitive dissonance theory(Festinger, 1957). Adams(1965) defined inequity as follows: "Inequity exists for a person whenever he perceives that the ratio of his outcomes to inputs and the ratio of others' outcomes to others' inputs are unequal."
Adams(1965) presented two assumptions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First, the presence of inequity in a person creates tension in him. The tension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inequity present. Second, the tension created in a person will motivate him to eliminate or reduce it. The strength of the motivation is proportional to the tension created. In other words, states of inequity lead to distress(guilt under overpayment and anger under underpayment) and a person acts so as to cognitively or behaviorally redress inequity in order to relieve their distress.
Since Adams(1965) has postulated that the inequity perception is equivalent to the experience of dissonance, he derived six means of reducing inequity from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and his two postulates : (1) altering inputs, (2) altering outputs, (3) cognitive distortion of inputs and outputs, (4) leaving the field, (5) acting on the others compared, and (6) changing object of comparison.
Several recent researchers(Goodman and Friedman, 1971 : Campbell and Pritchard, 1976 : Carrell and Dittrich, 1978 : Mowday, 1979) have indicated general support for equity predictions. They have also pointed out, however, that equity theory has some seriou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modify and develop equity theory into a broader and more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of motivation theory by finding out the rol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and situational variable. The focus of this paper will be upon the roles of two moderate variables (personality and situation) in business relationship of Korea. Especially, my interest will be upon the roles of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in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and inequity resolu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parts, that is, (1) Introduction, (2) A review of literature about equity theory, (3)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hypotheses, (4) the method of experimental study, (5) the results of the analyzed data and tests of hypotheses, (6) concls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9 research hypotheses were derived in this study.
H. 1-1 : The members of the test group who perceived inequity of underpayment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the members of control group.
H. 1-2 : Therefore, the members of the test group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the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H. 2-1 : Among underpaid members, members who attribute their inequity perception to internal/intentional causes(situations)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members who attribute it to extermal/unintentional causes(situations).
H. 2-2 : Therefore, members who attribute their inequity perception to
internal/intentional causes(situations)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members who attribute to external/unintentional cause(situations).
H. 3-1 : Among underpaid members, internals will be more distressed than externals.
H. 3-2 : Therefore, internals will produce work of lower quantity and quality than externals.
H. 4-1 : When we divide the test group into four groups as follows,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will be A>B>C>D.
H. 4-2 : Therefor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will be D>C>B>A. It also means that locus of control is more powerful than attributional information in the magnitude of inequity distress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
situation internal/intentional external/unintentional
personnality attributional information(s₁) attributional information(s₂)
------------------------------------------------------------------------------
internals(p₁) A (p₁, s₁) B (p₁, s₂)
externals(p₂) C (p₂, s₁) C (p₂, s₂)
------------------------------------------------------------------------------
H. 5 : There will be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ttributional information.
In true 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se hypotheses, 150 female employee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and all extraneous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dependent variables of five groups were compared. To test the hypotheses, t test for H. 1-1, 1-2, 4-1, 4-2, two way analysis of varance for H. 2-1, 2-2, 3-1, 3-2, 5 were used. According to result of the test of the hypotheses, H. 1-1, 1-2, 2-1, 3-1, 3-2 were supported but H. 2-2, 4-1, 4-2, 5 were not. The processing of data depended on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ersonal computer).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have implications that
(1) Equity theory emphasizes that business management should realize that social
process is generated in business organization and that job motivation changes and is decided dynamically through social relation.
(2) Business management should find the methods to let employees have the confidence that they are treated equitably, for the perception of equity is generated through social comparison process.
(3) In managing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we should find new methods which the principles of equity can be applicable, and we should appraise if present compensation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ity.
(4) We can use inequity as means of management by making up inequity intentionally.
(5) We can increase the effect of employees management by not managing them
uniformly, but by managing them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situation.
Now, we should note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1) Because of the laboratory experimental design of this research, there were problems in external validity.
(2)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experimental procedure by intervening the artifact effects.
(3) Present study delt only with underpayment/time wage condition, and female
employees. It should be expanded to other conditions, and male employees.
(4) MACL was used in this research to measure distress, some researchers suspec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5) The ethical issues may be pointed as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research.
The traditional formulation of the equity theory that inequity perception causes distress and induces equity restoration activity should be reformulated by adding moderate variables such as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It can be argued that past equity research which frequently showed inconsistent result could have been explained better by finding the moderate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It is not argued here that attributional information and locus of control variables can explain all the unexplained variables in the past researches. Adding these variables in an equity formulation can help us solve a small protion of the problems that the equity theory is facing now.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