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인공지능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국가법의 과제 = Staatsrechtliche Aufgaben zur sozialen Annahme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65(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기술 개발과 사회적 수용을 통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신기술과 관련해서는 그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흥하고 사용을 촉진하는 일 못지않게, 기술의 리스크 또는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국가 정책 측면에서도 산업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의 고려가 모두 필요하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영역의 고려는 흔히 인공지능 윤리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윤리는 속성상 자율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정책적으로 다루더라도 법적 규제의 최소화, 민관 협력, 이용자 보호, 기술 발전 속도와의 조화 등을 감안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를 토대로 사람 중심 인공지능 실현을 위한 몇 가지 개별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인공지능의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일정한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기술 사용과 관련한 당사자들에게 그 준수를 요구하는 방안이 있다. 이 프로토콜은 규범적인 효력보다는 연성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둘째로, 규범이 아닌 거버넌스를 통해 인공지능의 각종 문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인공지능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의 협력에 바탕을 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면서도 바람직하다. 셋째로, 알고리듬의 사용 단계에서 알고리듬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당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바탕으로 알고리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절차를 통해 알고리듬을 통제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사용 윤리 정립을 보조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일반 학교교육 과정에 디지털 윤리 교육을 포함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윤리적 소양을 갖춘 기술개발자를 양성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더보기Künstliche Intelligenz funktioniert als neue erzeugte Energie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bei deren Entwicklung und sozialen Annahme verschiedene sozioökonomische Vorteile vorgesehe werden können. Jenseits ist es auch so gewichtig, die geeigneten Maßnahmen gegen die Risiken bzw. zur Vermeidung nachteiliger Auswirkungen der Technologie einzuleiten, ihre Entwicklung und Benutzung zur Maximalisierung des Vorsprungs zu beschleunigen. Bei staatlichen politischen Strategien für die künstliche Intelligenz handelt es sich um die Berücksichtigung der industriellen und sozialen Aspekte. Die Beachtung der sozialen Seite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prägt sich erfahrungsgemäß in der sog. KI-Ethik aus. Da ein autonomer Charakter der Ethik wesentlich ist, muss sowohl die rechtliche Kontrolle bei der politischen Behandlung minimiert werden, als auch die Partnerschaft zwischen privaten und öffentlichen Sektoren, der Benutzerschutz und die Harmonisierung mit der Geschwindigkeit der technologischen Entwicklung in Betracht kommen. In diesem Beitrag geht es um die folgenden einzelnen Durchsetzungsmittel zur menschenzentrierten KI. Zuerst geht es um die normative Lösung durch Vorschriften des Protokolls, die Betroffene für die Ausnutzung der Technologie beachten sollen. Allerdings soll das Protokoll keine normative Natur, sondern nicht-zwingende haben. Ferner können die Probleme um KI durch Governance statt rechtlicher Regelungen flexibel behandelt werden. In Berücksichtigung des Charakters von KI ist es effektiv und sinnvoll, auf der Basis der Partnerschaften zwischen dem privaten und öffentlichen Sektor Governance aufzubauen. Darüber hinaus kann eine Verfahrenskontrolle herausgezogen werden, bei der Betroffene Informationen für die Anwendung der Algorithmen übertragen werden und die Einführung von KI aufgrund der Informationen selbst bestimmen. Schließlich ist die Ethik bei der Design- und Nutzungsphase durch die Verbesserung des Bildungssystems aufzustellen. Das Programm der digitalen Ethik kann einerseits in das allgemeine Schulsystem und andererseits in die berufliche Ausbildung zur Heranbildung der Techniker eingefügt werde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2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