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인 가구의 스트레스와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의 상관성 연구(2) -분석지표 및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Resilience in Perception of Living Space(2) -Focusing on Case Analysis Models and Applicatio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3-246(14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소통의 부재, 경제적 불안정, 일상적 지원 부족, 그리고 사회적 고립 등의 문제로 인해 심리적 압박을 경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특히 1인 가구의 생활공간은 평균 20~40m²의 작은 면적으로 인해 공간의 비효율성과 불편함을 초래하여,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 회복 및 심리적 안정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스 셀리에(Hans Selye, 1936)의 "일반 적응 증후군(GAS)" 이론 중 스트레스 반응의 두 번째 단계인 ‘저항 단계’의 속성을 적용하여, 공간의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저항 단계의 속성이 스트레스 감소와 정신 건강 증진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Jang & Lee, 2024)에서 도출된 1인 가구 스트레스와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사례 분석 모형을 제안하며, 선정된 사례를 통해 공간 회복탄력성의 미세 속성인 ‘자기 돌봄’과 ‘자기 조절’의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1인 가구 스트레스와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 자기 돌봄 및 자기 조절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수행하여 연구 가설과 모형을 설정한다. 둘째, 신뢰도 0.7(α) 이상의 설문 문항을 기존 연구에서 추출해 예비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설문을 실시한다. 셋째,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SPSS 26.0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통제변수가 있는 병렬 다중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응답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 𝑟𝑖𝑛𝑡(30%) 이상 항목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곡선 추정의 선형 그래프, 로지스틱의 모형 요약과 계수를 산출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1인 가구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인 주거 공간디자인(안)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독립 변수(X: 1인 가구 스트레스)는 종속 변수(Y: 공간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β = -0.3048). 또한, 매개 변수(M1: 자기 돌봄)는 독립 변수(X: 1인 가구 스트레스)와 종속 변수(Y: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다(p < 0.01, β = 0.1788). 이는 1인 가구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자기 돌봄이 활성화되면서 공간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을 의미한다. 반면, 매개 변수(M2: 자기 조절)는 종속 변수(Y: 공간 회복탄력성)와의 간접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β = 0.1261). 이는 자기 조절이 공간 회복탄력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영향력이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1인 가구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주거 공간 회복탄력성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 돌봄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자기 돌봄이 활성화되면서 공간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반면, 자기 조절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1인 가구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기 돌봄을 촉진하는 주거 공간 디자인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주거 환경을 설계할 때 자기 돌봄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예: 휴식 공간 최적화, 자연 요소 활용, 감각적 치유 디자인 적용 ...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e growing preval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led to increased psychological pressures stemming from social isolation, economic instability, and a lack of daily support. These households often experience significant mental stress, particularly as their living spaces, averaging 20–40 m², present challenges such as discomfort and inefficiency. Managing and recovering from mental and physical stress in such confined environments proves especially difficult.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by applying the resistance stage of Hans Selye's "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 theor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patial resilience on stress reduction and its correlations. The research aims to define how the attributes of the resistance stage mediate stress reduction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 Building on findings from the earlier study. This research proposes a case analysis model. It examines the micro-attributes of spatial resilience, specifically self-care and self-regulation, to establish their importance in mitigating stress. (Method) First, a theoretical review and literature analysis on stress, spatial resilience, self-care, and self-regul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onducted to formulate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Second, survey questions with a reliability score of α ≥ 0.7 were extracted from prior studies for a preliminary survey. Following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ered. Thir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to perform a parallel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control variables. Final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eding 30% were set as moderating variables, and linear graphs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derived to propose effective design solutions for reducing stress in single-person household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X (stress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Y (spatial resilience) (β = -0.3048, p < 0.01). Additionally, the mediating variable, M1 (self-care), played a significant role between X and Y (β = 0.1788, p < 0.01). Higher stress levels activated self-care, thereby enhancing spatial resilience. However, the mediating variable, M2 (self-regul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Y (β = 0.1261, p > 0.05).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increased stress in single-person households negatively affects spatial resilience, with self-care serving as a crucial mediating factor. While higher stress levels promote self-care, improving resilience, self-regulation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Therefore, promoting self-care and incorporating resilience-enhancing spatial design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managing stres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ving spaces, and contributing to better mental health outcom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