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군묘지의 창설과 초기 운영 연구-1950년대 정부 공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Early Operation of the Armed Forces Cemetery-Focusing on the Analysis of Government Documents in the 1950s-
저자
엄태용 (국가보훈처)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3-252(50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는 1950년대 생산된 정부 공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국군묘지의 창설과 초기 운영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국군묘지 건립의 준비 과정을 분석하였다. 국군묘지 후보지는 총 9차에 걸친 답사를 통해 1953년 9월 동작동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후보지 선정을 위해 각 지역의 면적, 토질·배수·전망, 민폐 여부등이 고려되었고, 3차 답사부터는 서울과의 거리가 중시되었다. 후보지 선정의 가장 주요한 요인은 이승만 대통령의 재가 여부였다. 후보지 결정 후 묘지 운영에 관한 초기 원칙이 마련되었고, 1953년 11월에 개최된 ‘국군묘지 설치추진위원회’를 통해 최종적 안이 수립되었다. 둘째, 국군묘지의 건립과 이후 초기 운영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국군묘지는 무명용사묘비를 건립하고 뒤편 분묘석 안에 대표무명용사1위를 안장하여 전몰자 전체를 추모하였다. 이는 미국 알링턴 국립묘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전후 전국 각 사찰에서 전사자 영현을 임시 봉안하였지만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국군묘지 건립후 <영현 후송 절차 요강>이 마련되어 영현의 후송과 매장이 본격화되었다. 1957년 5월 경 4,351위의 매장이 최초로 이루어졌으며, 1959년까지 약 40,000위의 매장이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관련 사료 발굴을 통해 국군묘지의 초기 역사에 관하여밝힌 본격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and early operation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Its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was examined. The final candidate site for the Armed Forces Cemetery was selected as Dongjak-dong, Seoul in September 1953 through nine field surveys. Various factors wer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of the final candidate site while President Syngman Rhee's approval was the most decisive factor. After selecting the final candidate site,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was made on November 25, 1953. This included the key poin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Secondly, the construction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and its initial operation were examined. The representative unknown soldier was buried behind the Unknown Soldier Monument built in the Armed Forces Cemetery to commemorate the entire war dead of the Korean War. This way of commemoration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Arlington National Cemete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Armed Forces Cemetery, the procedure for transferring war dead to the Armed Forces Cemetery and other specific procedures were made for the burial of war dead. Around May 1957, 4,351 were buried for the first time, and an annual plan was established to bury about 40,000 by 1959.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