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 전기 주현군 지휘체계와 운영양태 = Command Structure and Operational Structure of the Juhyeongun in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저자
홍민호 (육군본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8(38쪽)
제공처
소장기관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지방사회에 대해 본격적인 통제를 가하고, 국가질서에 편입하기 위한 조처들을 해나갔다. 그 결과 주현군도 장교직제를 중심으로 지휘권이 한정・전속되었다. 정비 기조는 특정 계층에게 병권을 담보해주거나 전유하게 하지 않는 방향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다른 직함이 주현군 지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제한 조치도 시행되었다.
주현군은 군액 수 모두가 지역 내에 동원되어 있을 수는 없었다. 주현군은 번차를 나누어 운영되었고, 번상시위제와 연동되었기 때문이다. 실제 지역에서 활동하던 군 규모는 적힌 그대로가 아니었다. 번상한 번차와 휴번인 번차들을 고려하면, 지역 내에서 입번한 이들의 규모는 줄어든다. 때문에 이를 담당할 지휘관의 소요도 크지 않았다. 그래서 주현군의 지휘체계는 상대적으로 소략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한편, 주현군의 여러 역할들을 고려하면 평시에도 군액의 이동을 인도할 이들이 필요했다. 소략한 주현군의 장교군은 각 지역에 긴박되어야 했으므로, 장교군하부의 기두가 이런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현군 운영상의 한 단면이다. [高麗史] 州縣軍條의 기재방식은 이를 반영한 것이었다. 5道주현군은 번상에 중점을 두었기에 세세한 군현별 배속보다는 가용 가능 수를 일정 단위로 묶어 기록했다. 주현군은 이른바 보충대 역할에 특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After unifying the Later Three Kingdoms, Goryeo began to assert direct control over local societies and implemented measures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centralized national order.
As part of this process, the Juhyeongun(州縣軍) was restructured, with command authority becoming exclusive to designated officer positions. The guiding principle behind this reorganization was to prevent any particular social class from monopolizing military authority. Accordingly, restrictions were introduced to ensure that individuals holding other titles could not interfere with the command of the Juhyeongun.
The Juhyeongun could not maintain its full listed troop quota mobilized within the region at all times. Troops were organized into rotating shifts and periodically dispatched to perform guard duties in the capital or other designated areas. As a result, the number of active soldiers in a given locality did not correspond to the figures recorded in the Juhyeongun section. Considering those on duty and those resting between rotations, the actual number of troops present in the reg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is limited deployment reduced the need for a large number of commanders, resulting in a relatively simplified command structure for the Juhyeongun. Nevertheless, given its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those in peacetime, personnel were still required to direct and oversee troop movements. Since the officer corps remained stationed in their respective regions, subordinate leaders known as Gidu(旗頭) assumed these operational responsibilities. This illustrates one aspect of the Juhyeongun’s operational struc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