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學的 態度育成을 위한 情意的 評價道具의 開發 = Development of an Affective Evaluation Instrument for bring-up of the Scientific Attitud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7
작성언어
Korean
KDC
37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7(61쪽)
과학 교육의 목표가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기능적 목표로 되어 있으나 인지적 목표외에는 그 개념이나 내용이 추상적이기 때문에 학습 지도면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로 인해 평가면에서도 인지적 목표 영역에만 국한하여 정의적 목표 영역면의 평가가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과학과 학습의 일반 목표에도 명시된 바와 같이 과학적 태도면의 육성이 필수적으로 되어 왔다. 탐구 과정의 일부분으로서의 과학적 태도는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기초적인 교양 교육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전문가들은 중학교에서 길러져야 할 과학적 태도 요소들을 추출하여 체계와 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용을 요약하면 주로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주안점 9개 범주 즉 호기심, 정직성, 인내성, 객관성, 비판성, 정확성, 안전성, 적용성, 개방성에 대해 이들 각 범주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모두 51개의 세목을 개발하였으며, 또 적용 연구를 위하여 중학 과학2, 단원 Ⅲ . 물질의 입자(중단원 1,2,3)에 적용할 평가 기준을 이 척도에 따라 작성하였다. 적용 연구는 학습 지도 계호기에 따라 수업 중 그 시간에 가장 두드러진 학생의 행동을 중심으로 태도를 관찰하거나 질문, 보고서, 가상문 등을 통하여 과학적 태도 평가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하였다.
이 연구가 비록 많은 개선점과 문제점을 안고 있으나 일서 교사들의 학습 지도의 방향과 평가 방법의 연구에 다소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re cognitive object, affective one, an functional one. But these objectives except cognitive one have been neglected in teaching by reason of their abstraction of concept and contents. It causes the neglect of affective domain and learning too much on cognitive domain in evaluation. But it is essential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as seen in the general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attitude ; a part of inquire process, is acquiring importance in fundamental education of persons as well as in the motive mover of scienticic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authors selected the factors of scientific attitude which must be developed at the secondary school and systematized them.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the affective evaluation instrument for bringing up of the scientific attitude.
In brief, nine categories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 curiosity frankness, patience, objectivity, criticism, correctness safety, application and openness.
Each boundary is divided into subscales which have fiftyone items are made to be applied Middle school science, Book 2, Book 3. "A particle of matter (section 1,2,3)".
The applica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aking statistics after observing the students attitude, especially the obvious one through class and checking their questions, reports and description of impressions while teaching them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n.
I hold a firm belief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teachers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guidance though it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