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예술치료에서 예술의 의미: 프랑스 예술치료의 이론을 중심으로
저자
김익진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89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3-237(25쪽)
KCI 피인용횟수
11
제공처
우리는 이 논문에서 치료도구로서의 예술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찾기 위해 우리나라 예술치료학계에서 진행된 기존의 노력들을 점검해보고 프랑스의 예술치료학이 정립한 ‘치료로서의 예술’에 대한 시각을 소개함으로써 예술치료에 있어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우리예술치료학계에서 예술치료의 치료기전에 관한 논의는 수차례에 걸쳐 발전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의미에 대한 인식론적 차원의 성찰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1940년대 말부터 예술치료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진행되어왔던 프랑스에서도 치료에 있어서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예술치료협회AFRATAPEM의 연구진들, 특히 리샤르 포레스티에의 연구는 우리가 다루고 있는 주제와 관련하여 매우 유익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포레스티에가 제안하고 있는 독창적인 자기평가방식인 ‘3B 이론’과 ‘하모니 큐빅’은 예술치료에서 예술도 그 미학적 가치를 강조할 때 치료의 도구로서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론적 모델이다. 포레스티에를 비롯한 프랑스에서의 연구와 지금까지 국내의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치료에 있어 예술에 대한 시각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예술은 마음치료과정에서 내담자들에게 표현을 위한 형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자유롭지만 절제된 방식으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틀 역할을 한다. 둘째, 예술은 언어적 표현으로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해주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표현양식이다. 셋째, 예술은 그 창조적 과정에서 내담자들로 하여금 통찰을 경험케 할 수 있는 촉매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예술의 효용성에 대한 정의에 한 가지를 덧붙이려한다. 예술은 아름다움의 경험을 제공하는 미적체험의 통로라는 사실이다. 이 네 번째 속성은 치료에 있어서 예술이 지니는 속성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이다. 이 효용가치는 앞의 세 가지 효용들에 예술치료만의 특성을 부여해주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을 느끼고 경험하는 일, 즉 미적 체험이 없다면 예술치료행위는 작업치료행위와 구별되지 못한다. 미적 체험이 결여된 예술치료에서의 예술행위는 그저 단순 작업 행위일 뿐이다.
What is the art in the art-therapy? The studies on this plan are not really done with the precision up to the present. Even in France where the theological studies of the art-therapy begun since the end of 1940s, finding the answer of this question is always ongoing. So much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art in the art-therapy. Nevertheless it is very useful to us to consult the efforts of the AFRATAPEM, Tout savoir sur l'Art-thérapie in which we can find many interesting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the art in the art-therapy. The theory of 3B and the harmonic cube open the way for us to find the possibility of guarding the aesthetic aspect of the art when we apply the arts to the therapeutic activities. Through the studies which we have consulted, we can seize the ideas which could be useful to define the art in art-therapy. And then, we can define the art in the art-therapy on the functional plan. In the first place, the art offers a formal frame in which the patients can express themselves freely avoiding to fall in rough state. In the second, non-verbal, it allows to express the inner ego which is difficult to show with the language. In the third, it is a means by witch the patients can manage to obtain a insight. And we add another function which is fundamental. It is that the art can be the passage through which we can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fourth aspect is radical because it is finally the foundation of the previous three functions. Without an aesthetic experience, the art-therapy has no difference towards the ergotherap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8 | 1.58 | 1.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9 | 1.73 | 1.733 | 0.4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