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환자에서 집먼지진드기 감작 유무에 따른 임상적 차이: 순천향 코호트 분석 = The differences of clinical profiles by house dust mite sensitization in patients with asthmatics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cohort
저자
발행사항
아산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내과학 , 2017. 2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610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형태사항
v, 17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도진
참고문헌: p.9-12
소장기관
서론 : 천식의 유병률은 성인 및 소아에서 지난 50년간 점차 증가하는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천식의 병리기전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 위험인자로는 외부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의 발생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환경 알레르겐에 대한 IgE 매개 알레르기가 천식의 병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알레르겐 중 집먼지진드기는 전 세계적으로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에서 가장 중요한 알레르겐이며 최근 국내 연구에서는 17.2%에서 36.7%의 양성률이 보고되었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폐질환 유전체센터에 등록된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겐의 감작률 및 그에 따른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을 방문한 호흡기 폐질환 유전체센터에 등록된 총 2,345명의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 환자군에서 일반 혈액검사, 흉부 X-선, 알레르기 피부반응시험, 폐기능검사, 객담검사, PC20 등을 시행하여 집먼지진드기에 감작된 환자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 총 2,345명의 천식 환자에서 세로무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p),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Derf)와 dog hair, mugwort 순으로 피부반응시험에서 항원에 감작되어 있었다.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 무늬먼지진드기에 양성인 군은 남성이 51.2%로 큰다리먼지진드기 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음성군과 비아토피군에 비해 남성비율이 높았다. 천식의 발병 연령은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양성군에서 평균 32.5세로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음성인 아토피군 및 비 아토피군보다 연령이 낮았다. 총 IgE는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양성군에서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음성인 아토피군보다 높았고 비아토피군은 중간 수치를 보였다(611.5±24.6 ku/L vs. 217.1±17.0 ku/L vs. 242.0±13.2 ku/L, P<0.001). PC20는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양성군에서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음성군 및 비아토피군보다 낮았다. 혈액 내 호산구 농도는 큰다리먼지진드기나 세로무늬먼지진드기에 양성군에서 비아토피군보다 더 증가하였다(414.7 ±13.1 vs. 350.6±14.0, P<0.05).
결론 : 집먼지진드기에 감작된 아토피 천식 환자군은 천식 발병 연령이 젊고, 혈중 총 IgE수치가 높으며 호산구 염증을 보인다.
Background :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 are highly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s(HDM). There is few data to observe sensitization rate to HDM in asthmatics in Korea.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profiles by HDM sensitization in patients with asthmatics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SCH) cohort.
Methods :: We recruited 2,345 asthmatic patients in SCH cohort. Lung function, body mass index(BMI), sputum and blood eosinophils, and PC20, and clinical profiles were compared by HDM sensitization.
Results : Dermatophagoides farinae(Derf) and/or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erp)(+) sensitization rate was higher prevalence in male than in female. Compared with non atopy asthmatics, Derf and/or Derp(+) asthmatics had early onset of age [Derf and/or Derp(+) vs. Derf and Derp(-) vs. atopy(-); 32.5±0.51 vs. 36.1±0.88 vs. 43.1±0.54, P<0.05]. Derf and/or Derp(+) asthmatics had shorter duration of asthma symptom than that of non atopy asthmatics. Derf and/or Derp(+) asthmatics had lowe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forced vital capacity than those of Derf and Derp(-) asthmatics. PC20 in Derf and/or Derp(+) asthmatics had lower than those of Derf and Derp(-) and non atopy asthmatics [Derf and/or Derp(+) vs. Derf and Derp(-) vs. atopy(-); 5.4±0.24mg/ mL vs. 6.59±0.52mg/mL vs. 7.19±0.33mg/mL, P<0.05]. Blood eosinophils number in Derf and/or Derp(+) asthmatics had higher than that of non atopy asthmatics(414.7±131.1 vs. 350.6±14.0, P<0.05). Total immunoglobulinE(IgE) in Derf and/or Derp positive asthmatics had higher than that of Derf and Derp negative and non atopy asthmatics. There was no difference of body mass index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 Our data indicate that atopy asthmatics sensitized to Derf and/or Derp had early onset of age, high total IgE and airway responsiveness, and eosinophilic inflamm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