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의 성현(聖賢)화와 그 의미 = Become saint of Princess Jinyang and Its meaning in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3-360(3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YoossiSamdaerok(유씨삼대록)> are a series of works from <Yoohyogong seonhaengrok(유효공선행록)>. From Yoo-baekkyung, Yoo-woosung, to Yoo-kwan, Yoo-hyun, the 3rd generation. It is a Korean literature full-length novel that contains various events and aspects of various characters in the Yoo family. The figures of saints and gentlemen who were sought at that tim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a military figure in Korean novels.
In <YoossiSamdaerok> there is a unique character-type ‘Princess Jinyang(진양공주)’ that uses the military figure to seal the gap between ideology and reality that existed within the Yoo family. Princess Jinyang is an overwhelmingly powerful lyricist who can easily be traced back to the dictionary in <YoossiSamdaerok>. Therefore, many of the studies have discussed the existence of 'Jinyang Princess' in its operations. However, it was often mentioned in terms of the case of marital conflict, or explained in a special type of case called Princess Marri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over the shape of the heroine ‘Jinyang Princess’ who is the center of the epic structure, 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novel.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Princess Jinyang becomes prominent, we will examine her works based on "Involvement into the Yoo-family." "The location of conflict and the location of the people who disappeared after the rite.", “an early death after (formal) deification.” Princess Jinyang has the gift of reading heaven and earth in the epic <YoossiSamdaerok> and appears as the only woman who can use her mysterious abilities.
In the event of she’s absence, she prepared an official letter to rescue the Yoo-family from danger in advance and utilize she’s ability to save a person's life or measure his life by acupuncture. Princess Jinyang also keeps trying to rule out the emperor even though she has an imperial power during her lifetime, and maintains her teachings and posture to her royal family as well as her family members. She also maintains a balance in the character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concubine who served as the most important conflict factor in the book. It also exerts great virtue beyond Yo․Shun emperor. and not only does this change the cause of conflict from the beginning to the right, but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person who is watching the conflict will have a life force that causes sensitization.
The location and shape of Princess Jinyang in <YoossiSamdaerok> can be understood through her life as a true manifestation of Princess Jinyang at each epic point. This effectively presents the form of saint and author thoughts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Therefore, Princess Jinyang, which is depicted in <Yoossi Samdaerok> will also serve as a conduit to express the key elements that the work wanted to capture. The process of looking at the shape and function of Princess Jinyang of <YoossiSamdaerok> is an important work for various aspects of the work.
<유씨삼대록>은 <유효공선행록>의 연작 작품으로 1대인 유백경, 유우성 부터 3대인 유관, 유현 형제에 이르기까지 유씨 가문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과 다양한 등장인물의 양상들을 담아내고 있는 국문장편소설 작품이다. 당시 추구되던 성인(聖人)이나 군자(君子)의 형상들은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성현 및 군자형 인물유형의 형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유씨삼대록>에서도 최고 성인의 경지에 이른 성현(聖賢)을 전고로 활용하거나 인물에 군자형상을 대입함으로써 유교가 지향하는 바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별을 뛰어 넘은 성현적 존재로 유씨 가문 내에 존재했던 유교적 이념과 현실사이의 괴리를 대효(大孝)로써 봉합시키는 ‘진양공주’라는 독특한 인물유형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진양공주’는 <유씨삼대록>에서 서사전체를 추동하여 끌고 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압도적인 서사의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다. 때문에 그간의 연구들에서도 ‘진양공주’의 작중 존재감에 대해 지적하여 적지 않은 논의를 전개해 왔다. 하지만 부부갈등이라는 사건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언급되거나, 공주혼이라는 특수유형으로 묶여서 설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사구조의 중심이 되는 여주인공 ‘진양공주’의 성현화된 형상과 이에 따른 기능 및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진양공주가 두드러지게 형상화 되는 지점에 따라 ‘유씨 가문으로의 개입과 대효의 수행자’, ‘갈등의 발생과 소거자의 위치’, ‘요절이후의 신격화된 위치’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진양공주는 성현중에서도 효와 우애등을 중시하며 제위 이후 가장 이상정인 정치 및 대효를 실천한 요순과 같은 황제들에 비견되며 <유씨삼대록> 서사 내에서 천기를 읽을 수 있는 재주와 신이한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존재로 등장한다. 훗날 자신이 부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유씨 가문을 위험에서 구출할 봉서를 미리 준비해 두고 세상을 떠난다던지 침술로서 사람의 목숨을 구하거나 수명을 가늠하기도 하는 특수한 능력을 적시적소에 활용한다. 유씨 가문에서 죽음을 맞은 이후에도 추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은 진양공주 뿐이다.
또한 진양공주는 살아있는 동안 황권을 지니고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황권을 배제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며 함께 지내는 가족 뿐 아니라 궁인들에게까지 몸소 성현의 가르침과 자세를 유지하는 면모를 보인다. 진양공주가 지닌 성현의 형상과 요소들은 유씨가문으로 의도치 않게 개입된 타인이자 한 나라의 공주라는 존재에서 더 나아가 성현보다 더 성현됨을 추구하는 대효의 존재로써 서사전반에 기능을 하게 된다. <유씨삼대록>에서 가장 핵심적인 갈등 요소로 작용했던 장소저와 유세형 사이의 인물관계에서도 균형을 잃지 않으며, 성현(聖賢)을 넘어서는 대덕을 발휘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을 근본부터 바르게 바꾸어 놓을 뿐 아니라 갈등을 지켜보던 이들에게도 감화를 일으키는 인물로 생명력을 지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요절 이후에도 공주는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회상할 때뿐만 아니라, 가문에 좋은 일이 있을 때, 가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등 곁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가문의 남아있는 인물들을 통해 존재감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대대로 회상...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8 | 0.973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