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SCOPUS
해상 이동형 우주 발사 플랫폼 기본 설계를 위한 운용개념 정립 및 요구 설비 배치 = Establishment of Operational Concepts and Layout of Required Facilities for the Basic Design of a Offshore Launch Platform
저자
김영철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김상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박성종 (삼성중공업) ; 한재흥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항공우주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63-571(9쪽)
제공처
소장기관
해상 발사는 선박과 같은 해양 구조물에서 우주발사체의 발사를 수행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발사 장소와 궤도 경사각의 선정이 자유롭고 낙하물의 위치나 영공 침범 문제의 상대적인 이점을 갖는다. 지상 발사 시 지구 자전 속도의 활용이 어렵고 인접 국가들에 의해 발사각 제약이 있는 국내 우주 시장에 해상 발사가 적합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석유 시추선(SV- 8000)을 바탕으로 차세대 한국형발사체의 발사가 가능한 해상 이동형 우주 발사 플랫폼의 기본 설계를 수행하였다. 우선, 수평 총조립 방식에 따른 운용 절차를 수립하였다. 또한 차세대 한국형발사체의 제원을 고려하여 선체를 포함한 해상 발사 플랫폼에 대한 주요 설비의 3차원 모델링과 배치 설계를 수행하였다.
더보기Sea launch refers to a system that conducts rocket launches from maritime structures such as ships. This approach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including the flexibility to select launch sites and orbital inclinations freely, as well as reduced risks associated with debris fall and airspace violations. Due to the difficulty of utilizing the Earth’s rotational speed during ground launches and the launch angle restrictions imposed by neighboring countries, sea-based launches are well-suited for the domestic space market. However, research in this area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a basic design of a mobile sea-based space launch platform capable of launching the next-generation Korean launch vehicle was carried out based on Samsung Heavy Industries’ oil drilling ship(SV-8000). First, the operational procedur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ssembly method, and 3D modeling and layout design of the major facilities applied to the sea-based launch platform, including the hull, were conducted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next-generation Korean launch vehicl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