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뷰딘의 장기투여 효과 = Effects of lamivudine in HBV related chronic liver disease
저자
정태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김덕윤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정희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김남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이재욱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양창헌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이창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 서정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임상의학 연구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40-350(11쪽)
제공처
소장기관
연구목적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뷰딘의 장기투여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중 HBeAg과 HBV DNA가 양성이고 혈청 ALT가 40 IU/L 이상인 환자 81명(만성간염 75예, 대상성 간경변증 6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4예(29.6%)는 과거에 인터페론 치료를 받았으나 반응이 없었다. 평균나이 38.4세(17세~64세)이였으며 남자 63명, 여자 18명으로 남녀 비는 3.5:1이었다. 43예는 간조직 검사에서 만성 간염으로 진단된 경우이었다. 라미뷰딘 100 ㎎을 매일 6개월이상 (평균투여기간 21개월, 투여범위 6개월-63개월) 투여하였다. 라미뷰딘 투여전과 투여 개시후 1-3개월 간격으로 간기능검사, HBeAg, anti-HBe, HBV DNA검사를 시행하였고 HBeAg 혈청전환율, 치료종료 후 재발률 및 내성 발생률과 각각에 대한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81명 가운데 30예(37%)에서 HBeAg 혈청전환이 되었고 이 가운데 26예에서 투약중지를 하였으며 이중 6예에서 재발을 보였다. 혈청전환을 제외한 51예중 18예(35%)에서 라미뷰딘 장기투여에 따른 내성을 보였다. 치료전 AST/ALT 치가 높고, HBV DNA치가 낮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HBeAg 혈청전환이 많이 일어났고, 치료전 HBV DNA의 정량적 수치가 높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라미뷰딘에 대한 내성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은 치료기간이 짧을수록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 : 라미뷰딘은 장기간 투여시 높은 혈청전환을 보였지만 장기투여에 따른 내성발생이나 투약종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임상양상의 악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Lamivudine, an oral nucleoside analogue, effectively suppresses HBV replication and improves liver enzymes as well as liver histology. Long 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drug-resistant HBV strains in som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mivudine, the breakthrough rate, and their relapse rate after HBeAg loss.
Methods: A total of 81 HBeAg and HBV DNA positive patients (chronic hepatitis 75, cirrhosis 6) showing abnormal serum levels of aminotransferase for at least 6 months received 100 ㎎ of lamivudine once daily.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was 6-63 months (mean 21 months). Responder was defined as the ALT normalization with sustained suppression of HBV DNA and HBeAg loss. Therapy was stopped after HBeAg loss.
Results: The cumulative HBeAg loss rates at 12, 18 and 26 months were 24.7% 28.4% and 37%, respectively. Serum levels of HBV DNA, AST and ALT before lamivudin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the therapy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HBeAg loss. The cumulative breakthrough rates at 12, 24 and 32 months were 7.8%, 25.5% and 35.3%, respectively. The HBV DNA level befor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were predictable factor for breakthrough.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HBeAg loss in 26 patients. Most episodes of relapse occurred within 6 months after cessation of lamivudine therapy. The cumulative relapse rates at 6 months was 66%. A predictive factor for relapse after HBeAg loss by the therapy was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 quantitative serum levels of HBV DNA, AST and ALT before lamivudin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the therapy are 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HBeAg loss. Lamivudine-induced HBeAg loss was not maintained after discontinuing the therap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