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저자

      전혜경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 전공 2012. 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 형태사항

      vi, 98장: 삽화,표; 30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병석
      참고문헌 : 68-85장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라는 두 변인이 아버지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그것의 성차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결과 부분매개효과 완전매개효과의 두 가지를 제안하고, 그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237명과 312명에게 아버지의 역할수행척도, 의사소통척도와 사회적 지지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AMOS 7.0, Sobel 검증을 활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모형 분석결과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이것은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변화함을 의미한다.
    둘째,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 아버지 역할수행의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것은 긍정적인 아버지 역할수행을 더 많이 했다고 지각하는 학생들일수록 아버지와 대화를 긍정적이고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함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에 대해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학생들일수록, 아버지와 의사소통이 원활한 학생들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넷째, 아버지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집단만 유의하였다. 즉,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와 의사소통이 더 원활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하였다. 한편 아버지 역할수행이 아버지 의사소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사회적 지지로 영향을 미치는 방향은 남학생 여학생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남·녀 다집단 분석에서, 완전매개모형에 포함된 네 개의 경로 각각은 남·녀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의사소통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는 남자 집단에서 유의하고, 여자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의사소통을 매개한 효과는 남·녀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다양한 변인들을 통하여 알아본 것이다. 기존 연구는 아버지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등 두 변인간의 관계만 다루어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왜 자기효능감에 효과를 갖는지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로 지각됨으로써 자기효능감에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연구모형의 차이를 규명하여 남녀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버지 역할수행에서 의사소통으로 가는 경로가 남·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더보기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as two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how different the mediating effects are as gender difference. It suggest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as analyzing precedent research and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two mediating effects. To verify this study, Questionnaires, which contained father's role practice measure, communication measure, social support measure and self-efficacy measure, were carried out among high school students, 237 male and 312 female. Structural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questionnaire by using SPSS 18.0, AMOS 7.0, Sobel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This means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the self-efficacy depend on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Secondly, the direct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meaningful. This means students, who think their fathers did positive father's role practice, perceived that conversation with their fathers was positive and they had more social support.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self-efficacy positively. Namely, it signifies that the more social support students get, the more frequent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ir fathers,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had.
    Thirdly, father's role practice affect the self-efficacy mediated by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This showed that father's role practice that adolescents perceived, has indirect effect on the self-efficacy by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Fourthl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fathers were meaningful only in the male student group. That is,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fficacy when they communicate with their fathers smoothly, female students had nothing to do. And social support had effect on the self-efficacy in the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affected by father's role practice in the both groups. And father's role practice influenced communication with fathers more in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ractice on social support was meaningful in the both groups.
    Fifth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4 path, which were included i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respectively, in multi group analysis of male and female. However the path from communication to the self-efficacy was meaningful in the male group, not in the female group. Therefore the effects mediated by communication should differently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male and female.
    This study has its own meaning, compared to the precedent research, in the way that it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bles and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e precedent research explored only the relation of two variables such as father's role practice and the self-efficacy, communication and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This made it difficult to explain why father's role practice had effect on the self-efficacy. This study, however, verified that father's role practice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self-efficacy as it was perceived as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Moreover, it demonstrated the gender differences by research models. The path from father's role practice to communication and the path from communication to the self-efficacy appeared differently by gender difference.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10
    • Ⅱ. 이론적 배경 13
    • 1. 아버지의 역할수행 13
    • 2.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16
    • 3.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의 관련변인 23
    • 1) 의사소통 23
    • 2) 사회적 지지 29
    • 3) 남녀 차이 32
    • 4.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37
    • Ⅲ. 연구방법 42
    • 1. 연구대상 42
    • 2. 측정도구 45
    • 3. 자료분석 50
    • Ⅳ. 연구결과 51
    • 1.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기효능감 간의 매개효과 검증 51
    • 2. 성별에 따른 연구모형의 차이 56
    • Ⅴ. 논의 및 결론 61
    • 참고문헌 68
    • 부 록 86
    • 영문요약 96
    더보기
    • 1 Parker, "Fathers. Cambridge", 1981
    • 2 Perry, David G, "Social development", Prentice-Hall, 1984
    • 3 Bowlby, John, "Attachment and loss", Penguin Books, Attachment and loss, 1978
    • 4 김영애, "의사소통 방법론", 2008
    • 5 민병기, 박영신, 김의철, "부모의 사회적 지원", 2002
    • 6 송인섭,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1998
    • 7 김의철, 박영신,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2001
    • 8 House, James 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Pub. Co., 1981
    • 9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1995
    • 10 Responsible Fatherhood Act of, "United States Senate Bill #S.653", 2001
    • 11 김계숙, 김영희, 김신정, "어머니의 아동 양육태도", 대한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 2003
    • 12 Maccoby, Eleanor E.,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 13 김광웅, 박성연, "아버지의 역할과 아동발달", 1995
    • 14 Bienvenu,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1970
    • 15 Lamb, "The Father's Role: Appled Perspective", 1986
    • 16 이훈구, "행복의 심리학-주관적 안녕-", 행복의 심리학-주관적 안녕, 1997
    • 17 ura, "Self-efficacy Mechaism in Human Agency", 1982
    • 18 함인희, "현대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1997
    • 19 Lin, "Stress-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1977
    • 20 Thomas, "Marit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Marit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1977
    • 21 Shaffer, 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2000
    • 22 Cobb,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1976
    • 23 Belsky, "Early human experience: A Family perspective", Early human experience: A family perspective, 1981
    • 24 Galvin, "Familycommunication-cohesionandchange(2nded)",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2nd ed.), 1986
    • 25 Ushpoz, Levy-Shiff, Hoffman, "Socialsupport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1988
    • 26 Green, Walker, "The social context of adolescent self-esteem", 1986
    • 27 한국청소년상담원, "우리 청소년,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리청소년, 2003
    • 28 구정화, "관계상황에 따른 아동의 자아가치", 淑明女子大學校,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29 가경신, 정정옥, 윤운성, "변화하는 사회속에서의 자기효능감", 2004
    • 30 Ainsworth, "An ethological approach to personality development", 1991
    • 31 박지원,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5
    • 32 Lamb, "Father's forgotten contributor to child development", 1975
    • 33 Barnes, Ols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1982
    • 34 Bronrenbrenner,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1977
    • 35 Delgado, Jimenez, "Family communication and conflict during adolescence", 2002
    • 36 Barnes, Ols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plex model", 1985
    • 37 노호은, 박경자, "자녀 양육 태도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2001
    • 38 Ames,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Classrooms: Goals, 1992
    • 39 Becker,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Discipline", 1972
    • 40 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W. H, 1997
    • 41 조영란, 이화자,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모형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2004
    • 42 Weiss, "The provisions of social relationships. In Z. Rubin(Ed)", 1974
    • 43 이장주, "부자유친성정 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44 권윤희,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측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대학원,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측모형구축, 2005
    • 45 이영,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인간발달 생태학", 1998
    • 46 박경일, "대안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004
    • 47 조선화, "아버지 역할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의 동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97
    • 48 임정하, "한국적 양육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2003
    • 49 禹希姃, "아동의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994
    • 50 Rohner,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Rejection",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1984
    • 51 전영주(Young Ju Chun), 여진경 ( Chin Kyeong Yeo ), "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와 아들의 의사소통", 한국가정관리학회, 2007
    • 52 Heller, Swindle, Dusenbury, "Component social support process: Comments and Intergration", 1986
    • 53 宋貞我, 尹明善, "청소년 자녀와 부모 관계향상 프로그램 모형", 한국가정관리학회, 청소년 자녀와 부모 관계향상 프로그램 모형, 1997
    • 54 Harris, Turner, "Parental attitudes and preschoolchildren's social competence", Parental attitudes and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984
    • 55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2001
    • 56 권은정, 김영희,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인성특성", 1998
    • 57 이재택(Jae Taek Lee), 정영숙(Young Sook Chong), 김영남(Young Nam Kim), 권수애(Soo Ae Kweon), 박영애(Young Yae Park), "일상생활에서의 아버지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지, 1997
    • 58 김근화, 신효식, "중학생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2004
    • 59 천정웅,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000
    • 60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1999
    • 61 Cattell, Dielman, "Relationships among family attitudes and child rearing practices", 1977
    • 62 정문자,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6
    • 63 차인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분석", 全北大學校, 전북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1
    • 64 이창숙, 이정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 리학회지, 2002
    • 65 최인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2006
    • 6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2005
    • 67 안현정,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2004
    • 68 박영애, Ock Boon Chung ), 정옥분 ( Young Yae Park,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 회지, 1996
    • 69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지각과 행동문제, 1996
    • 70 허묘연, 노경선, 홍현주, "청소년기 애착 유형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신 경정신의학, 2003
    • 71 이 금,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의사소통 만족에 관한 연구", 1992
    • 72 Holahan, Moo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 A longitudinal analysis", 1987
    • 73 Cohen,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s stress", 1983
    • 74 이행옥,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과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1988
    • 75 김진, 이신숙, 신효식,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95
    • 76 임영식, 양돈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1998
    • 77 남희경, "학교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정서 부적응과의 관계", 1997
    • 78 Demo, "Family reactions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1987
    • 79 Untch, Wenz-Gross, "Stress, socialsupport,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Stress, 1997
    • 80 Cobb, "Social support and Health Through the Life Course. In Matida Riley(Ed)", 1979
    • 81 이숙, 우희정,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 - 효능감간의 인과모형 탐색", 한국아동학회,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간의 인과모형탐색, 1994
    • 82 Fox, Cardona, "Parenting among Hispanic and Anglo-America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2000
    • 83 정유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1997
    • 84 정세용,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1994
    • 85 최윤화, "청소년의 자아상과 가정의 심리과정적 변인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86 Furman, Buhrmester,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 1992
    • 87 고화숙,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999
    • 88 Laursen, Collins, "Parent-child communication during adolescence. In Vangelisti, A. L. (Ed.)", "Parent-child communication during adolescence. In Vangelisti, 2004
    • 89 Williams, "Paternal attachment and involvement: Relationships to children's behavior", 2003
    • 90 박헌일, 김기원,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계명 문화대학 계명연구논총, 2001
    • 91 Reith, MacCallum, Roznowski, "Alternative strategies for cross-validation of cavariance structure models", 1994
    • 92 Bower, Kavanagh, "Mood and self-efficacy: Impactof joy and sadness on perceived capabilities", Mood and self-efficacy: Impact of joy and sadness on perceived capabilities, 1985
    • 93 장휘숙, "청소년기의 애착과 자기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1997
    • 94 김순옥, "10대 자녀의 의사소통 개방성에 대한 부모 변인의 예측력", 10대 자녀의 의사소통 개방성에 대한 부모변인의 예측력, 1991
    • 95 Nottelmann, "Competence and self-esteem during transla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1987
    • 96 조선화, "아버지 만족감 및 스트레스와 아버지 역할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97 N.G.Martin, N.A.Gillespie, Conventry, "Perceived Social Support in a Large Community Sample: Age and Sex Difference", 2004
    • 98 Baumrind, "The influences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1991
    • 99 Price R, Wortman, Kessler, "Social factors in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1985
    • 100 이숙, 이 숙,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101 Holahan, Holahan, C. K.,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depression in aging: A longitudinal analysis", "Self-efficacy, 1987
    • 102 김연숙, "일도시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1991
    • 103 송은경,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성격특성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104 김진희, "부모-청소년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과 관계", 1989
    • 105 Floyd, Morman, "Good fathering: Father and son perceptions. of what in means to be a good father", 2006
    • 106 Taylor, Bandura, Brouillard, "Perceived self-efficacy in coping with cognitive stressors and opioid activation", 1988
    • 107 Lambert, Cashwell, "Preteens talking to parents: perceived communication and school-based aggression", 2004
    • 108 이진용, "어머니-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1990
    • 109 권순명, "지각된 양육 경험과 자아정체감 및 통제 귀인과의 관계 분석", 1993
    • 110 尹雲星, "부모의 기대가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999
    • 111 남정홍,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2001
    • 112 이순희,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보상, 대가,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성 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13 박진아,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우울간의 관계", 2000
    • 114 정명희,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연구",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1987
    • 115 김지신, 김지신,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 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116 이순열, "자녀양육에서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남녀고등학생의 의식조사", 1986
    • 117 민혜영,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 로", 1990
    • 118 최홍규, "아버지와 자녀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2000
    • 119 최미경 ( Mi Kyung Choi ),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011
    • 120 오순환,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121 신효식, 류점숙, 손미리,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97
    • 122 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1986
    • 123 Anderson,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988
    • 124 박경란(Kyung Rhan Park), 장현숙(Hyun Sook Chang), "아동 , 가족 및 모의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귀인성향과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1999
    • 125 김연화,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126 도현심, 최미경,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 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경험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의 관 계, 1998
    • 127 Eggerichs, "A descriptive analysis of strong evangelical fa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2
    • 128 Frieman, "Privileged, Affluent Fathers: Perspectives on Fathering And Their Children's Schooling", "Privileged, 2005
    • 129 Hofferth, "Race/ethnic differences in father involvement in two parent families: Culture, context", "Race/ethnic differences in father involvement in two parent families: Culture, 2003
    • 130 박현미, 김의철, "고등학교 유형별 학업성취별 행복관련 변인의 차이에 대한 연 구", 2007
    • 131 이달석, 김재현,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조선대 생활지도연구, 1999
    • 132 박헌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간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 연구",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계명연구논총, 2000
    • 133 황혜자 , 최윤화,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2003
    • 134 Canfield, "Effective fathering practice and fathering satisfaction related to a father's life course", 1995
    • 135 김희화 ( Hee Hwa Kim ), 김경연(Kyong Yun Kim),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1998
    • 136 김의철, 박영신, "한국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 토착 심리학적 접근", "한국 학생의 자기효능감, 2003
    • 137 Han, Moon, "Perceived maternal rearing attitud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maternal rearing attitude, 2005
    • 138 Juang, Silberstein, "Suppor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adjustment across time in former east and west Germany", 1999
    • 139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efficacy", 2008
    • 140 오윤자, "초등학생 아버지-자녀가 지각한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의 자기효능감", 2004
    • 141 Paulson, "Relations of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involvement with ninth-grade students' achievement", 1994
    • 142 Black, Baumrind, "Socialization practices associated with dimensions of competence in perschool boys and girls", 1967
    • 143 서리나, 김정숙 ( Jeong Sook Kim ), 탁정미,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 준에 미치는 영향, 2006
    • 144 전미경(Jun Mi-Kyung), 노윤옥(Roh Yun-Ok),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2006
    • 145 문영숙, 한진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 2005
    • 146 Ruddy, Ruddy, M. G., Bornstein, "Cognitive correlates of infant attention and maternal stimulation over the first year of life", 1982
    • 147 김재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존중감 및 의사소통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148 김연희, 박경자,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01
    • 149 Ba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2008
    • 150 Denham, DeMuller, Mitchell, Schmidt,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orm home to school", 2000
    • 151 Jang Y.O, Shi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 - 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efficacy", 2001
    • 152 이형실(Lee, Hyong-Sil), 서찬란(Seo Chan Ran), "가족 환경 및 개인 심리 요인이 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06
    • 153 고경애, 정민정,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2007
    • 154 황윤경,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155 문혁준, "아동기의 부모 자녀 양육태도와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의 관 계", 1999
    • 156 임유진, 임유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全北大學校,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157 Cohen, Beckwith, "Preterm infant interaction with the caregiver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competence at age two", 1979
    • 158 Martin, Maccoby,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E. M. Hetherington (Ed.)",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E. M. Hetherington(ED), 1983
    • 159 이영자,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역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160 Price, DeRosier, Parker, Rubin, "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and adjustment: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Peer relationships, 1995
    • 161 김정옥 ( Jung Ok Kim ), 전길양(Gil Yang Jun),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2000
    • 162 강태완, 장해순 ( Hae Soon Jang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2005
    • 163 이은해, 손승희,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2004
    • 164 국길숙, 이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 감관의 관계", 2003
    • 165 조결자 ( Kyoul Ja Cho ), 이명희 ( Myung Hee Lee ), "중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 아동간호학회, "중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2010
    • 166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d in structure modeling: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1999
    • 167 Juang, Silbereisen, "Moder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efficacy beliefs on psychological responses to social change", 2002
    • 168 오연옥, "사춘기 자녀와 어머니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중3 학생을 중심으로)", 1987
    • 169 Hein, Lewko,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style: A study of high performing science students", 1994
    • 170 Troyer, Dornbusch, Steinberg, Glasgow, Ritter, "Parenting styles, adolescents' attribut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in nine heterogeneous high school", "Parenting styles, 1997
    • 171 정갑순, "부모-자녀 관계와 자기효능감,성취동기,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종단적 분석",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 2002
    • 172 이정규,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고3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간의 관계", 2006
    • 173 장경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6
    • 174 방희정, 김혜진, "어머니의 양육이 모-자녀 갈등을 매개로 청소년의 분리-개별 화에 미치는 영향", 2008
    • 175 김원경 ( Won Kyung Kim ), 전제아 ( Jae Ah Jeon ), 권희경 ( Hee Kyoung Kwon ), "부모양육행동, 아동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모델", 한국아동학회, "부모양육행동, 2006
    • 176 안유자, "적극적 부모 역할 훈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미치는 영향",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의사소통에 미 치는 영향, 2000
    • 177 홍성훈, 김희수, 윤은종,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 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2005
    • 178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social supports, and a child's self-effici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2006
    • 179 이상길 ( Sang Kil Lee ), "가정의 구조적 배경 및 고교생 변인과 아버지-고교생간 공감적 의사소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2005
    • 180 김영상, 정미영, "수업목표 설정시 학습자의 참여가 학업성취 및 수학 자 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업목표 설정시 학습자의 참여가 학업성취 및 수학 자기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1999
    • 181 Corey, "Childrens socialization experiences and functioning in single-mother households: The importance of the mien", 1998
    • 182 김희수,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2005
    • 183 오윤자, 윤미애, "아버지-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초 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버지-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초 등학생을 중심으로-, 2005
    • 184 홍계옥, "유아의 성·연령·기질,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의 자기-효능감 과의 관계", "유아의 성·연령·기질, 2003
    • 185 문정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형태와 아동의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형태와 아동의 자기효능감, 2009
    • 186 이송이,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06
    • 187 박아청, 최성열, 송현옥,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의 가정환경, 2010
    • 188 Bush, Ingoldsby, Suppl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Chile and Ecuador", 2003
    • 189 Schunk, "Self-regulation of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in academic settings.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in academic settings. In D. H. Schunk & B. J. Zimmerman(Eds.), 1992
    • 190 Midgley, Eccles, "State-environment fi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lassrooms for young adolescents. In R. Ames & C. Ames (Eds.)", 1989
    • 191 선명숙, 선명숙,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2011
    • 192 신향숙(Shin Hyang Suk), 장윤옥(Jang Yoon Ok),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001
    • 193 Kahn, Antonucci, "Conveys over the life course : Attachment roles, social support. In Paul B. Baltes and Orville G. Brim, Jr. (Eds.)", "Conveys over the life course : Attachment roles, 1980
    • 194 김경연, "어머니의 관련 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자아존중감: 종단적 자료 의 인과적 분석", 1993
    • 195 홍연란(Hong Yeon Ran),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 · 모-자녀 의사소통이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 2009
    • 196 김애경, "부모의 갈등 및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총기 청소년의 자아존 중감에 미치는 영향", 2003
    • 197 Pajares, Pajares, Frank, Pajares, F., Valiante, "Gender differences in writ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 function of gender orientation?", Gender differences in Writ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 Function of Gender Orientation?, 2001
    • 198 박재희, "십대의 적극적 부모 역할 훈련이 비행청소년 가족의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십대의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이 비행청소년 가족의 의사소통과 가 족 기능에 미치는 영향, 1997
    • 199 홍경자, "자녀와 부모의 응집력, 적응력 및 의사소통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부 모역할 훈련의 효과", "자녀와 부모의 응집력, 1998
    • 200 이애옥,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 생활 적응과의 관계 분석, 2008
    • 201 박현정,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행동 및 아동의 성취동기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005
    • 202 김경미, 정옥분,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3
    • 203 Dentler, "Self-efficacy a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quality assessment inventory. Ph. D. dissertation", 1984
    • 204 김광웅, 문수경, "부모-청소년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Bronfenbrenner의 관점을 중심으로-", 2005
    • 205 서영석, 신혜정,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 중, 고)에 따른 사회적 지지,자기효능감 및 적응 간의 구조모형 분석",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 2006
    • 206 J.Adonu, Goodwin, P.Costa, "Social support and its Consequencies: 'Positive' and 'Deficiency' Valu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pport and Self-esteem", 2004
    • 207 김은정, 김현철, "청소년기 사회화 과정의 국제비교 연구II-부모자녀관계, 교 사학생관계,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기 사회화 과정의 국제비교 연구II-부모자녀관계, 2007
    • 208 김정주 ( Jung Ju Kim ), 김용미(Yong-mi Kim),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아동기 경험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 209 이순형, 김지현, 이옥경,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판별연구: 자기효 능감 또래애착, 부모 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 판별 연구: 자기효능감, 2005
    • 210 T.L.Bennett, Dunkel-Schetter, "Differentiating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support, in B. R. Sarason, I. G. Sarason, and G. R. Pierce(eds.)", "Differentiating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support, 1990
    • 211 Augusto, Montes-Berg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copin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nursing student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2007
    • 212 Mo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and the perceive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1999
    • 213 趙殷卿, 徐炳淑, "부모·청소년자녀간의 대인거리·심리적거리·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1994
    • 214 David A.Kenny, Reuben M.Baron,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1986
    • 215 이정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216 서병숙, 조은경,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대인거리, 심리적 거리, 의사소통의 가 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대인거리, 1994
    • 217 이양희 ( Yang Hee Lee ), 이정미(Jeong Mi Lee),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간의 갈등, 2007
    • 218 유안진(An Jin Yoo), 민하영(Ha Young Min),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대처행동이 부모 - 관련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1999
    • 219 Tsa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internalized problems: A multiple-informant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8
    • 220 오혜진,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알파걸 집 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 간의 비교", 2011
    • 221 Pinneau,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In Lin, N., Conceptualizing Social Support, Life Events and Depress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In Lin, 1986
    • 222 Sheck,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he treatment of, and relationship with, their teenage children: Perceptions of Chinese adolescents",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he treatment of, 2000
    • 223 이민정, 이민정, "군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법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정서 상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224 Cooper, Grotevant, "Individuation in family relationships: A Perspective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nd role taking skill in adolescence", 1986
    • 225 정유미 ( Yoo Mi Jeong ), 김득성 ( Deuk Sung Kim ),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시내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1998
    • 226 이은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 효능감과의 관계(교대근 무 간호사의 초등학생자녀의 인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 227 유양(Liu Yang), 문영숙(Moon Young Sook), 박인숙(Park In Sook),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중국 아동의 비교", 아동간호학회,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2010
    • 228 Tisak, Dubow,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and Social Childre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1989
    • 229 Bost K, Washington, Cielinski, Bradbard, Vaughn, "Social competence, social support, and attachment: Demarcation of construct domains, measurement, and paths of influence for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Social competence, 1998
    • 230 남상온,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대한 아버지와 자녀의 일치정도와 자아 효능감의 관계 : 실업계와 인문계고등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2
    • 231 김의철, 박영신,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 ? 중 ? 고 ? 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중·고·대학 생의 성취동기, 2000
    • 232 소연희 ( Yeon Hee So ),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성취목표지향성,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