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학과 문학사업 - 슈투크라트-바레의 <라이브 앨범>과 슈트레루비츠의 <자손>을중심으로 = Literatur und Literaturbetrieb – am Beispiel von Livealbum von Stuckrad-Barre und Nachkommen von Streeruwitz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언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3-395(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pätestens nach Bourdieus Die Regeln der Kunst ist es schwer, die seit der Renaissance gültigen Vorstellungen vom Künstler als Schöpfer und Außenseiter der Gesellschaft sowie der Kunst als Heiliges weiter aufrechtzuerhalten. Denn nach Bourdieu ist die Literatur ein soziales Feld und der Wert des Kunstwerkes kein wesentlicher, sondern wird erst durch die Anerkennung des Feldes geschaffen. Die Kunst ist ein gesellschaftliches Spiel und beruht letztlich auf einer Fiktion, die durch die illusio aufrechterhalten wird. Gleichwohl wird die Autonomie der Kunst gewährleistet, weil das literarische Feld zwei Pole hat: der ökonomisch-heteronome Pol, wo Literatur als Ware gesehen wird, und der symbolisch-autonome, bei dem es um die Bedeutung geht. Aber nach dem Jahr 1990, das einen Einschnitt im deutschen Literaturbetrieb durch das veränderte Medienumfeld und die Globalisierung markiert, scheint das literarische Feld insgesamt zum ökonomisch-heteronomen Pol hingerückt zu sein. Dies bezeugt auch die verstärkten Selbstreflexionen der Literatur.
Stuckrad-Barres Livealbum behandelt die Tournee eines Autors, wobei alle Facetten des deutschen Literaturbetriebs mit seinen Akteuren und Medien auftreten. Hier kann man die Veränderungen im Literaturbetrieb nach 1990 an der Professionalisierung (durch Agenturen), Personalisierung des Autors und Eventisierung vergegenwärtigen. Die Autorfigur selbst versteht sich als “Mitarbeiter der Unterhaltungsindustrie” und die Literatur muss mit anderen Branchen dieser Industrie, nämlich Musik usw., um die Aufmerksamkeit konkurrieren. Obwohl es nicht um den Wert des Werks selbst geht, tut die Autorfigur alles, um im Betrieb Erfolg zu haben. Zwar durchschaut die Figur das gesellschaftliche Spiel um die Kunst, doch macht sie das Spiel mit.
Anders als die Hauptfigur in Livealbum, die die totale Heteronomisierung des Künstlers verkörpert, weigert sich die Hauptfigur in Nachkommen von Streeruwitz, das Spiel mitzumachen. Nelia, die mit ihrem Debütroman Kandidatin für den renommierten Deutschen Buchpreis geworden ist, macht bei der Preisverleihung und auf der Frankfurter Buchmesse dieselben Erfahrungen wie die Hauptfigur in Livealbum: Literatur als Show, Entertainment, Inszenierung und die Erniedrigung des Autors. Auch der symbolische Wert des Kunstwerks, der durch den Literaturpreis erzeugt wird, ist durch die mediale Inszenierung von der Unterhaltungsindustrie in Besitz genommen. Nelia durchschaut das Spiel und erkennt die Niederlage der Kunst, weigert sich aber, anders als der Erzähler in Livealbum, den Literaturbetrieb mitzumachen und erteilt damit diesem eine Absage. Trotzdem endet der Roman nicht mit der totalen Absage an die Kunst. Es wird ein Neuanfang und eine Neustrukturierung des literarischen Feldes angedeutet, nämlich in Form der Anspielung auf Boccaccio und der Geburt eines neuen Nachkommen. Der Kampf um die Autonomie der Kunst darf nicht als das Verlassen des literarischen Feldes interpretiert werden, weil das Gegenteil von illusio, der Glaube an den Wert der Literatur, Indifferenz und Gleichgültigkeit ist.
독일의 문학사업은 한편으로는 문학의 삶을 풍요롭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학을위기에 처하게도 한다. 1990년 이후 독일에서 문학사업을 다룬 소설이 많은 것도 문학사업에 대한 작가들의 강화된 자기반성을 반증한다. 작가들의 눈에 비친 독일의 문학사업은 TV라는 막강한 대중매체와 결합하면서 문학장의 자율적-상징적 극에서 멀어져 시장의 규칙을 따르는 타율적-경제적 극으로 이동하는 중이거나 이미 디스토피아를 실현하고 있는 듯하다. 슈투크라트-바레의 라이브 앨범은 오락산업으로 전락한 문학사업에서 문학의 타율화를 가장 잘 보여준다. 슈트레루비츠의 자손은 문학의 상징적 가치조차 오락산업의 권력에 점령당한 양상을 묘사한다. 이러한 문학장의 타율화에 대해 두작품의 1인칭 화자인 작가들은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라이브 앨범의 화자는 문학사업에서는 작품의 의미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으며 예술을 둘러싼 사회적 유희(일루지오)를 꿰뚫어보지만 이 유희를 같이한다. 반면 자손의 화자, 넬리아는 예술의패배를 인식하며 문학사업에 동참하기를 거부함으로써 타율화된 문학장의 일루지오를파괴한다. 그러나 문학사업에 대한 넬리아의 거부는 문학 자체에 대한 거부, 일루지오에대한 전면적 거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루지오, 즉 문학의 가치에 대한 믿음의 반대는 문학에 대한 무관심이기 때문이다. 근대문학의 출발점인 보카치오와의 대면, 아이의출생으로 끝나는 소설은 문학의 새로운 출발, 젊은 세대에 의한 문학장의 재편을 암시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0-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독일언어문학연구회 -> 한국독일언어문학회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1 | 0.505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