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艮齋 田愚의 자발적 고립을 통한 현실대응 양상 = A Study on Gan’jae Jeon Woo’s Response to Historical Reality through Voluntary Isolation
저자
정경훈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2(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艮齋 田愚(1841~1922)는 영남의 俛宇 郭鍾錫(1846~1919)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판맺음을 했던 인물이다. 유학의 전통을 지키고 유학의 진리를 만대에 전파하기 위한, 守道와 傳道를 위해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제국주의의 힘의 논리를 통한 지배를 거부하고 흔들림 없는 유학 종자를 파종하는데 일생을 바쳤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전우는 제국주의의 문명적 강제성과 통치 권력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지녔으며, 근대적 국가 체제의 붕괴 앞에서도 정신의 복권을 통한 도덕질서의 회복을 우선시하였다. 그는 유교 지식인들이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도와 나라 중 무엇이 우선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해, “정신과 도가 무너지면 나라는 다시 망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견지하였다. 이로써 그는 정신적 기반으로서의 도의 보존을 국권 수호의 전제 조건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학과 전도에 일생을 바쳤다.
전우는 조선의 국권이 상실되는 현실 속에서 國亡이라는 역사적 비극을 체감하며, 도의 수호(守道)가 유학자의 궁극적 책임임을 자각하였다. 그는 정치적 무장 투쟁이나 관직 출사 대신, ‘자발적 고립’이라는 실천적 선택을 통해 외세의 침탈과 내부 윤리 질서의 붕괴로부터 스스로를 분리해 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浮海’와 ‘入島’는 단순한 공간적 이동이 아닌, 도학적 신념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실천 공간의 전환이었다. 그는 문명의 편리함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념을 위해 스스로의 고립을 선택한 전우의 처세가 과연 그만의 독특한 선택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필자는 자발적 고립이 제국주의적 지배 질서에 대한 소극적 회피가 아니라, 신념에 기반한 주체적 실천이며 탈근대적 공간 선택의 한 양상으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전우가 서해 해도의 고립된 섬으로 入島하며 거사를 유보한 선택은, 당대 일부 유림으로부터 ‘擧義 회피’라는 비판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이를 동아시아 근대사의 지정학적 지형과 반제국주의의 사상사적 흐름 속에 위치시켜 재조명할 경우, 전우의 선택은 오히려 지역적 특수성을 넘어선 보편적 실천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임스 스콧(James C. Scott)이 제시한 ‘조미아(Zomia)’ 개념을 바탕으로 본다면 전우의 고립은 단순한 은둔이나 도피가 아닌, 근대 제국주의의 통합적 통치 질서에 대한 탈영토적 저항으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우는 국가나 제국과 같은 근대 권력 기획을 절대적 실체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거대 조직을 단지 ‘편의적 구성물’(convenient construct)로 인식하였다. 그는 국가 주도의 근대화 담론이나 통제 기반의 행정 체계, 물질 중심의 문명 개념에 회의적 시선을 견지하며, 오히려 정신문화의 내재적 가치를 중심에 둔 실천적 유학자상을 구현하였다. 그는 해도의 고립된 환경 속에서 자급자족의 공동체를 조직하고 문인 교육을 지속함으로써, 외세의 통제와 자본주의적 편의주의로부터 벗어난 자율적 윤리 공간을 형성하였다.
전우가 실현한 고립은 단지 지리적 단절이 아니라, 근대적 동일화와 통합 기획을 거부한 존재론적 저항이었다. 그는 조선의 멸망이라는 체제적 붕괴 앞에서 오히려 국가와 권력의 본질을 성찰하고, 도의 윤리적 절대성을 중심에 둔 비타협적 삶을 선택하였다. 이는 단지 한 개인의 은둔이 아니라, 근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사유와 유학적 주체의 가능성을 보 ...
Gan’jae Jeon Woo(1841–1922), along with Myeonu Gwak Jongseok (1846–1919) of Yeongnam, stands as one of the key figures who brought the tradition of Joseon Neo-Confucianism to its final culmination. He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the mission of “guarding the Way(守道)” and “transmitting the Way(傳道)”, aiming to uphold the legacy of Confucian learning and propagate its truths for generations to come. His unwavering resistance to the imperialist logic of domination and his life-long commitment to sowing the seeds of Confucianism in turbulent times deserve special recognition.
Jeon Woo harbored deep aversion to the coercive modernization and ruling mechanisms imposed by imperialist powers. Even in the face of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state system, he prioritized the restoration of moral order through spiritual renewal. When confronted with the recurring question among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e era—“Which should come first, the Way or the State?”—Jeon firmly asserted that “if the moral and spiritual order collapses, the nation is destined to fall again.” Thus, he recognized the preservation of the Way as a prerequisite to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 dedicating his life to education and the propagation of Confucian values.
Confronted with the historical trauma of national collapse, Jeon Woo internalized 守道 as the ultimate responsibility of a 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engaging in armed resistance or seeking governmental office, he deliberately chose voluntary isolation as an ethical practice, seeking to dissociate himself from both foreign domination and the internal moral decay of his time. His decision to go to sea(浮海) and retreat to remote islands(入島) was not merely a geographical movement but a strategic reconfiguration of space to preserve his doctrinal commitment.
Though his retreat to isolated islands in the West Sea and his abstention from direct uprising(擧義) drew criticism from some contemporaries, a broader geo-historical perspective on East Asia reveals that his action was not an isolated anomaly but rather reflected a shared mode of anti-imperialist praxis. Drawing on James C. Scott’s concept of Zomia, this study interprets Jeon's isolation not as escapism but as a deterritorialized form of resistance against the integrative logic of modern imperial rule.
Particularly, Jeon did not regard the nation-state or empire as ontologically absolute entities. He recognized them instead as "convenient constructs", contingent systems of power. Rejecting state-centered modernization discourse, bureaucratic rationality, and material civilization, he instead affirmed the intrinsic values of spiritual culture and sought to embody a practical Confucianism rooted in ethical autonomy. In his self-imposed exile, Jeon formed self-sufficient communal orders and continued his educational endeavors, thus creating an autonomous moral space outside the reach of imperial administration and capitalist utility.
His chosen isolation was not merely spatial seclusion but a form of ontological resistance—a refusal of homogenizing modern integration. Bearing witness to the collapse of Joseon, Jeon critically reflected on the nature of state and sovereignty, and chose a life grounded in the moral absolutism of the Way(道). His life thus serves not only as a case of personal seclusion but as a model of practical philosophy challenging the trajectory of modern civilization and affirming the possibility of a Confucian ethical subject in a colonial age.
Jeon Woo’s fourteen-year life in maritime exile was a philosophical experiment that demonstrated how spiritual autonomy and moral conviction can transcend material convenience and political integration. His life and actions may be situated within the universal trajectory of “resistance through isolation”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East Asia.
Throughout his life, Jeon embodied the Confucian mandate of 傳道 and Educa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