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대 刊, 『동여비고(東輿備攷)』에 수록된 사찰(寺刹)·사지(寺址)에 대한 검토 - 지도(地圖)와 지리지(地理誌)에 수록된 강원지역 사찰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Buddhist Temples and Temple Sites Listed in the ‘Dongyeobigo’ Issued in the 1700s - Focusing on Buddhist Temples in the Gangwon Region Listed in Maps and Geographical Recor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9(55쪽)
제공처
『동여비고』는 보물 제1596호로 전국을 도별로 구분하여 편찬한 고지도이다. 다양한 인문학적 자료가 수록되었지만 특히 사찰에 관련한 자료가 집중적으로 실려 있다. 이 지도는 노산대군의 묘가 장릉으로 추봉되는 1699년 이후, 숙종이 승하하기 이전인 1720년 사이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여비고』와 동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강역총도』는 『동여비고』의 水脈과 山脈이 완벽하리만치 동일하며 수록된 자료 명칭, 수록 위치, 수록된 유산의 성격 등 모든 자료가 같을 정도이다. 그런데 세부 내용에서 『조선강역도』는 삼척에 소재한 三和寺를 主和寺로, 看藏庵을 春藏庵으로 수록하는 등 여러 곳에서 『동여비고』를 模本으로 하여 제작된 지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동여비고』는 조선시대 작성된 고지도에서 사찰 자료를 수록한 最善本이라 할 것이다.
더보기Dongyeobigo is an old map compiled by categorizing the entire nation by provinces, and it is Treasure No. 1596. There are various multi-disciplinary data, but it focuses on data related to Buddhist temples.
This map is estimated to have been published after 1699 when the tomb of Nosan Daegun was promoted to jangneung and 1720 prior to the death of Sukjong. The Joseon-Gangyeokchongdo that is assumed to have been compiled during the same period is almost completely the same in terms of the waterways and mountain ranges of Dongyeobigo for manuscripts, and the listed names of data, location of lists, characteristics of listed cultural assets, and all of the data are the same. But in terms of details, the Joseon-Gangyeokdo indicates Samhwasa, which is a temple located in Dutasan (Mt.) of Samcheok and Ganjangam as Chunjangam, showing that it is a map that was copied from the original Dongyeobigo in many areas.
Accordingly, Dongyeobigo can be said to be the best book listing Buddhist temples among ancient maps draf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