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전망 = Characteristics and Futur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 Provi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1-156(36쪽)
제공처
강원도 무형문화재의 정체성 원칙에는 전통론(傳統論) 시각이 작용한다. 전통문화유산은 오래된 지혜의 무형의 소산물이다.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역적 특징은 ‘원형 그대로를 재현’하고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이다. 대체로 강원도 향토색이 현저한 것인데 지역 인성론(人性論) 곧 인정(인간문화재)의 순박성, 대동의 순환성, 자연의 생리성을 항목에 따라 차이가 보이나 두루 내재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서 무형문화재(총 36건)의 창조성 문제는 도 지정문화재 32건으로 ‘향부론(鄕富論)’에 우선한다. 무형문화재 적극 발굴을 전제로 전형의 실제 공연 프로그램 강화, 관련 지적 재산권을 통한 문화상품 개발, 지역 브랜드와 랜드마크를 위한 문화산업 견인이 그것이다. 대상 항목은 지역의 특수성을 끌어내고 독자성을 살린 종목 지정-예비지정 전통주, 방언, 황토잽이, 덕장 기술 등-을 확장해야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의 지정관리에 대해 지역 균형에 대한 ‘지역학(地域學)’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남과의 비교-아시아 간의 비교, 타 시도 간의 비교-를 통해서만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지정 종목은 비교를 통해 우위 장점을 살려 지정관리, 민속예술 전승교육, 지역자원 활용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전승자는 타시도와 교류를 많이 하여 자신의 전승 기술을 알리기도 하고 또 문제점을 고쳐나가고, 시군을 포함한 강원도로 대표되는 지방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well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tradition. Traditional culture develops from ancient wisdom, and one of the geographical elemen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 Province is that they bring the original form to life. The elements of Gangwon Province’s study of human nature, the good human nature, circle of peace, and force of nature, are all prominent, although each of them is more visible than others in different areas.
The issue of creativity with regard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ased on “the Wealth of Towns”, meaning that cultural art performances should be encouraged, IP rights should be protected for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creating more local brands and landmarks to boost the local cultural sector. Cultural items should highlight unique aspects of the local culture and more of such unique cultural elements should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help keep balance of regions, which can be studied through comparing a local culture to that of other people, other regions in Asia, and other cities and provinces. Such comparisons can serve as a foundation of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can be used for designated management, transmission, and as local resources. Bear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t engage in cultural exchange with other cities and provinces to spread, build upon, and recreate his/her cultural asset, backed by act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n this case,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angw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