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창의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 관한 개관: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ree perspectiv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3-177(1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generate original and useful idea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ognitive flexibility is importa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as a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is largely lacking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review, we sought to provide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si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To this end, we classified various concepts for flexibility into three perspectives (i.e., creative thought, divergent thinking, and executive function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regard of their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perspective provides distinct definition of cognitive flexibility such as a trait of cognition that leads to creative findings, an ability to generate ideas from diverse categories, and an ability to shift between mental sets. In particular, empirical studies of EF-flexibility showed that their results we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due to adopting different operational definitions for EF-flexibility. Finally, we suggest some essential considerations for measuring EF-flexibility and highlight some topics for future research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더보기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연구자들은 창의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인지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집행기능의 유연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살펴본 경험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집행기능의 유연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개념적, 방법론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성 연구에서 나타나는 유연성을 (1) 창의적 사고(creative thought)의 유연성(C-유연성), (2)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의 유연성(DT-유연성), (3)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s)의 유연성(EF-유연성)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서 드러나는 개념적, 방법론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관점은 인지적 유연성에 대해 창의적인 발견을 이끄는 인지적 특성, 다양한 범주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및 심적 세트를 전환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EF-유연성 관점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유연성에 대해 상이한 조작적 정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F-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집행기능 유연성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4-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실험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 KCI등재 |
2009-02-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실험심리학회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xperimental Psychology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44 | 0.731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