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상수원 조류관리를 위한 섬모상 조류차단매트 적용성 평가 = Study on Applicability of Vertical Curtain Mats for Algae Management in Water Resources
호소에서 조류 증식은 이취미 유발, 독소물질 검출 등 정수장 운영과 식수 안전에 위협을 준다. 사전대책으로 선택적취수시스템, 조류차단매트 및 수류 분사 장치 등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소 상수원에서 조류차단매트 파일럿 장치를 운영하면서 조류 등 주요 오염물질 제거 특성을 분석하고 현장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수원지 취수지점에 설치된 조류차단매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류 증식기를 포함해 7개월간 수심별 수질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운영 기간중 주요 출현종은 남조류 중 Microsystis, Microcoleus, Anabena과 규조류의 Synedra였고 Microsystis가 전체 개체수의98% 이상을 차지하였다. 평균 조류 제거율은 48%로 나타났으며 안정화 시기에는 56~76%의 제거율을 보였다. 수심별클로로필-a의 농도분포는 시기별 달랐고 3~5 m 수심에서 조류농도가 높아지고 그 이상 깊어지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류차단매트는 취수원에서 급격한 조류 발생 및 개체수를 사전에 관리함으로써 정수장에 미치는 조류 오염부하를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류 차단막 설치 수심은 남조류가 집중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수심에 맞추어 설계하는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Algae blooming in lakes poses a threat to the safety of drinking water by causing taste issues and odor and producing toxic substances. Selective intake systems, algae blocking mats, and water flow spray devices are used to control algae and maintain stable water quality. This study evaluated algae removal performance and practical applicabi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pilot scaled algae blocking mat. To install the vertical curtain mat in Hoedong reservoir,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based on water depth over a period of 7 months, including the algae blooming season. The main species identified were Microsystis, Microcoleus and Anabena, classified as blue-green algae, and Synedra as a diatom, accounting for over 98% of the total count. The average algae removal was 48% but during the stable stage, it ranged from 56 to 76%.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by water depth varied across times, with algae counts increasing at a depth of 3 to 5 meters and decreasing further beyond 5 meters. It was confirmed that vertical curtain mats could reduce algae loads o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Furthermore, the depth of mat installation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ason of blue-green algae blooming.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