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배우자의 신경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내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Neuroticism and Marital Well-Being
저자
김정우(Jeongwoo J. Kim) ; 이한별(Hanbyeol E. Lee) ; 양혜원(HyeWon Yang) ; 천정은(Jeong Eun Cheon) ; 김영훈(Yong-Hoon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3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9-123(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혼인관계에 있어 배우자의 신경증과 관계만족도의 부적 관계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원인이 되는 구체적 심리 기제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배우자의 신경증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를 정서억제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기혼자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연구 1, 한국, N=1,179; 연구 2, 한국과 미국, N=2,992). 결과적으로, 인지된 배우자의 신경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정서억제 수준이 상승하며 종국에 낮은 결혼만족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억제의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이는 신경증적 기질의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이 불만족스러운 이유가관계 내 정서억제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억제의 매개효과에 대한 성별, 정서가, 정서 발생 맥락의 조절효과에 대해 탐색하였으나, 오직 성별의 조절효과만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 표본에 제한하여 남성에비해 여성의 정서억제 수준이 배우자의 신경증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배우자의 신경증과 자신의 결혼만족도 간 부적 관계를 강화하였다.
더보기Although a neurotic spouse has been widely known to have deleterious effects on one’s marital well-being, few have examin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causes the effect. Th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uroticism of one’s spouse and one’s own marital satisfaction. Two online surveys were done on married individuals from two cultures (Study 1, South Korea, N=1,179; Study 2, South Korea & U.S., N=2,992).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neuroticism and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neuroticism of one’s spouse significantly predicted one’s emotion suppression which, in turn, led to lowered marital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in marriage with a spouse of neurotic personality may be attributed to strong emotional inhibition in the relationship. Moreover,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emotional valence, and emotion generation context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yet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only among Korean participants, emotional suppression more strongly predicted spouse’s neuroticism in women (vs. men), thereby intensify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use’s neuroticism and one’s own marital satisfac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