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인남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
저자
임지영(Ji Young Lim) ; 김주애(Ju Ae Kim) ; 장정아(Jeong Ah Jang) ; 김민채(Min Chae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63-478(1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인 영향요인이 되는 인구통계적 특성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태도나 느낌의 집합체인 자아이미지와 더불어 의복의 배색선호행동과 관련하여 연구함으로써 다양하고 세분화된 남성복 시장에 객관적인 감성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인구통계적 변인, 자아이미지, 의복배색선호로 구성되었다. 인구통계적 변인 척도는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월소득, 거주 지역, 패션관심도로 구성되었다. 자아이미지 측정은 Gutman, J와 Mills, MK가 사용한 자아상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의복배색선호는 셔츠와 타이가 조합된 자극물 사진과 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의미미분척도를 사용하였다. 평가자는 서울·경기지역과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은 SPSS 1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성인남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집단 간에 자아이미지와 의복배색선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이미지는 비교적 연령이 높아질수록 미혼일수록, 고학력일수록, 자유롭거나 타인과의 접촉이 잦은 직업일수록, 월소득이 낮을수록, 서울·경기지역 일수록, 패션에 관심이 높을수록 자신을 ‘세련된’, ‘현대적인’, ‘특이한’, ‘모험적인’, ‘사교적인’, ‘군중 속에 두드러지는’, ‘생활스타일이 다양한’ 이미지로 지각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의복배색선호도는 비교적 연령이 높아질수록, 기혼일수록 동일, 톤 온 톤, 톤 인 톤, 콘트라스트1 배색을 선호하였고 부산·경남지역이 서울·경기지역보다 톤 인 톤 배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에 관심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톤 온 톤 배색이나 톤 인 톤 배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집단모두 톤 온 톤 배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vide the objective emotional data for diversified and segmented men`s clothes market by stud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individual influence factor, together with the self-image, which is the aggregate of the individual attitude and emotion, related to the coloration preference behavior in the clothes. Therefore, the degree of the self-images and the degree of the color preferences in clothe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are intended to verify. The measuring tools of the study are composed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self-image, and the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The demographic variable scales are composed of the age, the marital status, the academic background, the profession, the monthly income, the residential region, and the interest in fashion. The self-image was measured by using self-image measurement tools used by Gutman J. and Mills, M.K. The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was measured by using the stimulus pictures taken from shirts combined with ties,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measure the response.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from the adult male subjects lived in the Seoul-Gyeonggi region and the Pusan-Gyeongnam reg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3.0 Statistical Packag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presented in the self-image and coloration preference in cloth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adult males. The self-image was perceived as more ‘sophisticated’, ‘modernized’, ‘unique’, ‘adventurous’, and ‘social’ images, and ‘distinguished forms among the crowd’ and ‘diversified lifestyle’ image in the peoples of relatively older, singles, higher academic backgrounds, the liberal professions or the professions of frequently contact with others, lower monthly income, Seoul-Gyeonggi residents, and having higher interest in fashion. In the color preference in clothes, the people of relatively older ages and married represented to prefer the same, tone-on-tone, tone-in-tone and contrast1 coloration, and the people of Pusan-Gyeongnam region represented to prefer tone-in-tone coloration than those of Seoul-Gyeonggi region. The group of the people not interested in fashion appeared to prefer tone-on-tone and tone-in-tone coloration than the group of interested in fashion. Coloration of tone-on-tone represented as the most preferred coloration for all the groups of demographic variabl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