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종분포모델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변수선택방법 적용 연구 = Application of Big Data-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Establishment of Suitabl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저자
오지은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권소연 (국립생태원) ; 한아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 홍승범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9-243(1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종분포모델(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은 기후 및 환경의 변화가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생물종의보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SDM은 경험기반의 모델로서, 연구 대상종의 서식환경요인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더라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DM을 활용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입력자료 구축 시 매우 제한적인 수의 변수목록(예, 19개 생물기후변수 및 그 밖에 몇몇 지리학적 변수)과 단순한 변수 선택방법(예, 상관분석)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예측 결과의 대표성을 낮추는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기후 및환경관련 변수 목록 200개 이상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기반의 입력변수선택방법을 통해 최적의 종분포모델을 도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종은 입력변수 선택의 적합성과 구축된 모델의 예측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서식지의 기후-환경 요인이 비교적 잘 연구된 구상나무(Abies koreana) 이다. 결과에 의하면, 빅데이터를활용하였을 때 연구 대상종의 모델링을 위해 적합한 서식환경 결정 요소의 도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태학적정보가 부족한 생물종들을 대상으로 분포 예측모델을 구축할 때, 빅데이터 기반의 변수선택 방법 도입을 통해 최적의 서식환경결정 요소들을 도출 확률을 높이고, 결과적으로는 예측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접근 방법임을 시사한다.
더보기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are commonly used to predict how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mpact species and to inform conservation strategies. These empirical models are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they can generate predictions even when there is limited prior research on the habitat-determining factors of target species.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using SDMs have relied on a narrow range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ypically 19 bioclimatic variables) and a few geographical data for model input selection resulting with a simplistic approach that creates uncertainties in the representation of simulated habitats. To address this limitation, this study constructed a Big Data repository containing over 200 clim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employed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methods for feature selection to build robust input datasets for SDMs.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selected input data and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model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bies koreana, a species whose habitat's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relatively well-stud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ature selection method, combined with the climate-environmental Big Data, effectively extracts plausible habitat-determining factors for target speci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accurate and suitable SDM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