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OpenAccess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형상과 그 의미 = The Figures and Means of Family in Pansori Novels
저자
최혜진 (목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56(26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We can look around changed family figure in Pansori Novels as it is dealt with the collapse and changing process of feudal system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So we can show three figures of family in Pansori Novels.
First, Chunhyangjun, Simchungjun treat mother-daughter family and father- daughter family. We can show changing social figures through a daughter but that family is out of system. They success in spite of incomplete family.
Second, Musookitaryung, Onggojipjun, Yichunpoongjun, Heunboojun treat family's problems in the paterfamilias system. They criticize immoral men in family. And they desire return to good husband or good father, that is, they want moral and real family man. And it is reader's desire too. In that process they bring women's ability into relief.
Third, Byunganshoiga, Janggitaryung considers women's remarriage problem.
But their future prospect is negative, because of conservative social views of a woman's remarriage. Thus, women can not free themselves from deep-rooted feudalism views.
We show hope for the ideal family ideals that a family's understanding and desire harmonize with member of family by Pansori novels. One side we attention family be out of favor with social system. So we can show means an individual's life in family. Even wander individual desire the family endlessly.
In this point Pansori novels are reflected in new figure of family in collapse period of feudal and actual problem.
판소리계 소설에 형상화 되어 있는 가족의 문제는 조선 후기 봉건 질서의 와해와 그 변화 과정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변화하는 가족상을 살펴 볼 수 있다. 모녀 가족이나 부녀 가족을 그리고 있는 춘향전과 심청전의 경우, 딸로서 실현되는 사회 변화상을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도권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가족, 그 질곡을 넘어서 자신의 성취를 당당히 그려내고 있다는 점은 ‘불완전한’ 가족을 의미있게 포착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어머니의 부재와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주변의 시선이 같지 않음은 여전히 혈통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 다른 일군의 소설은 가족 구성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무숙이타령 옹고집전 이춘풍전 흥부전 등이 그것이다. 이들을 통해 불건강한 가장의 행태를 묘사 비판하면서 책임 있고 성실한 가장으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것이 향유층들의 소망이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가정의 희생자, 피해자였던 여성의 능력을 부각시키고 부부관계를 조화롭게 재조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변강쇠가 장끼타령을 통해 가족의 재구성을 위한 개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들 소설은 가족의 구성에 대한 여성의 중층적 질곡을 묘사한 것이기는 하지만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곧 개가에 관한한 여전히 보수적 시각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판소리계 소설이 보여주는 가족의 형상은 가족 구성원의 이해와 욕구가 적절히 조화되고, 대사회적 승리를 예비하는 공간으로서 소망되고 있다. 장끼와 옹녀조차도 백년해로할 배필을 만나리라는 희망을 가지면서 반복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중세 질서의 완강한 이념을 보여주는 동시에 개인의 삶이 가족 안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다시금 반문한다. 떠도는 개인조차 여전히 가족을 지향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점에서 판소리계 소설들은 현실적 가족의 문제를 직시하고 새로운 가족상을 모색하는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8 | 1.791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