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군의 북한·중국문서 노획 고찰: 1950년대 한반도에서 노획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pture of North Korean and Chinese Documents by the ROK Army: Focusing on the Documents Captured in Korean Peninsula in the 195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25쪽)
제공처
소장기관
Since the captured North Korean documents(North Korean and Chinese documents, etc.) were declassified, various studies on the Korean War centering on the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each academic world, and naturally, the subject who captured the enemy documents also became interested. However, almost all prior studies so far have introduced only the US Army as the subject who captured enemy documents. It is true that the ROK Army also captured enemy documents on the battlefield,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aptured enemy documents by the ROK Army so far.
The ROK Arm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pturing enemy documents during the war, so they gave related orders to subordinate units, and arranged enemy documents according to a certain method. These historical facts were recorded in various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military records such as “Operation Orders” and “Combat Reports” written by the ROK Army at the time and enemy military documents captured from the battlefield.
Therefore, in commemorat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this study initially examined the process of capturing enemy documents by the ROK military based on the above historical materials, which has not been known until now.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how much the ROK military valued capturing enemy documents and how they organized them, and based on documents and records, the number of enemy documents captured by the ROK military was inferr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fact of capture by the ROK military in the records of the US military who took over the enemy military documents from the ROK military, the link between the ROK military and the US military regarding the enemy military documents was confirmed.
북한노획문서(북한 및 중국문서 등)가 비밀 해제된 이후로 각 학계에서는 해당 사료들을 중심으로 6·25전쟁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였고, 자연스럽게 적서를 노획한 주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거의 모든 선행연구에서는 적서를 노획한 주체에 대해 미군만 소개하고 있다. 국군도 전장에서적서를 노획하였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지만 지금까지 국군의 적서 노획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국군은 전쟁 당시 적서 노획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에 관련 명령을 예하부대에 하달하였으며, 일정한 방식에 따라 적서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당시 국군이 작성한 「작전명령」, 「전투상보」 등의 군사기록물과 전장에서 노획한 적서 등 여러 1차 사료에 그대로 기록되어 있다.따라서 본고는 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이하여 이상의 문헌자료(1차 사료)들을 기반으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국군의 적서 노획과정을 처음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국군이 적서 노획을 얼마나 중시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적서를 정리하였는지를 확인하였고, 문서와 기록을 토대로 국군이 노획한 적서의 수량을 유추해보았다. 아울러 국군으로부터 적서를 인계받은 미군의 기록에서 국군의 노획에 관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적서에 대한 국군과 미군과의 연결고리를 확인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