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 초기 임진강 일대 주요전투와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 임진강·해유령 전투를 중심으로 = Major Battles Around the Imjin River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and the Actual State of the Command System of Government Forces: Focusing on the Imjin River and Haeyu-ryeong Battles
저자
유동호 (육군본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25쪽)
제공처
소장기관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major battles in the Imjin River area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and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forces at the time, the process of the fall of the capital city, the development of major battles, the cause of the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the beheading process of Shin-gak were considered.
On April 13, 1592, Japanese troops invaded Joseon and occupied the capital city in about 20 days. The Joseon government army that failed to retain its capital built a defense line around the Imjingang River. Kim Myung-won and others built a defense line on Imjinnaru, and Iil and others built a second defense line on Daetan upstream of the Imjin River. And Lee Yang-won and Shingak rearranged their battle lines in Yangju.
In the process, the battles between Haeyu-ryeong and Jangsuwon took place.
The Battle of Haeyu-ryeong on May 16 was the first battle in which the Joseon government forces won the Japanese regular army on land. And the Battle of Jangsuwon was the battle in which Lee Si-eon's unit won the Japanese regular army at Jangsuwon (now Uijeongbu-jang) on May 17.
After the battles of Haeyu-ryeong and Jangsu-won, Shin-gak, Lee Yang-won, and Lee Si-eon joined the Imjin River defense line built by Kim Myeong-won, Han Eung-in, and Lee Il. However, on the night of May 17, the Imjin River defense line collapsed due to the over-interference of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day after the defeat in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Shin-gak was beheaded. This is because Kim Myeong-won put all the responsibility for not protecting the Han River on Shin-gak.
The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Shin Gak's death were due to Joseon government's poor judgment and confusing military command system. At that time, the command system was centered on civilian decision-makers, so that commanders with equivalent echelons could not properly grasp the war situation and create a strict hierarchy. As a result, the command system was confus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battlefield was not smooth.
In the end, it resulted in defeat in the Battle of Imjin River and beheading of Shin Gak.
임진왜란 초기 주요전투 재조명 및 지휘체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도성 함락과정, 주요전투의 전개과정, 임진강 전투의 패배원인, 신각의 참형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1592년 4월 13일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약 20일 만에 도성을 점령하였다. 조선군은 도성에서 물러나 임진강 일대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도원수 김명원 등은임진나루에 제1방어선을 구축하였으며, 순변사 이일 등은 임진강 상류 대탄에 제2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유령·장수원 전투가 벌어졌다. 해유령 전투는 5월 16일 조선 관군이 육지에서 일본군에게 처음 승리한 전투이며, 장수원 전투는 5월 17일 이시언부대가 장수원(현 의정부 장)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한 전투이다.
해유령·장수원 전투 이후 신각, 이양원, 이시언 등은 임진강 방어선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5월 17일 밤 임진강 방어선은 무너졌다. 지나친 조정의 지휘간섭이 큰원인이었다. 한편 임진강 전투에서 패한 다음 날, 해유령 전투를 승리로 이끈 신각이 갑자기 참형 당하였다. 도원수 김명원이 한강전투 패배의 책임을 신각에게 돌렸기 때문이다.
임진강 전투 패배와 신각 참형사건은 혼란한 군령체계와 조정의 성급한 판단의 결과물이었다. 당시 지휘체계는 대개 文臣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名位와 爵秩이 비슷한 지휘관들은 전황을 제대로 파악을 할 수 없었으며, 엄정한 위계질서를 구축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군령체계는 혼란하였고, 조정과 戰場 간 소통은 원활하지 못하였다. 선조와 조정 대신들은 임진강 방어선의 장수들에게 무리한 공격명령을 내려패배를 자초하였고, 김명원의 말만 믿고 신각을 성급하게 처형하였다. 임진강 전투패배와 신각의 참형사건은 임진왜란 초기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