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들소 상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sm of Bison
저자
최문희 (평생교육원 젊음의 집)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94(1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 symbol presupposes an unknown meaning that is meaningful but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words. We do our best to express some unknown meaning, but the character of a symbol is that a meaning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is left behind. Therefore, if the symbolic meaning can be fully expressed and explained, the symbol has already lost its vitality as a symbol. In ‘Sandplay Counseling’, symbols are an active function of the mind and appear in self-awareness in various forms. The symbolization process, one of the most meaningful concepts in Jung's theory, is a unique feature of sand play counseling. This is because these symbols appear not only through dreams or fantasies, through intuition or inspiration, physical symptoms or emotions, but also sand play.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the bison appearing in the sand play counseling was expanded and investigated in depth through mythology, religion, and human culture. As a wild animal belonging to the bovine family, the bison could be expanded with the first death and rebirth, the second purity and purity, the third strength and authority, the fourth bravery, and the fifth fight against the disease. It was found that the bison is revealed as a symbol of the animal archetype in the instinctive aspec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ymbolism contained in the bison expand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new symbolic meaning of the animal prototype.
더보기상징(symbol)이란 어떤 의미 있는 그러나 그 의미를 온전히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미지의 어떤 의미를 전제로 한다. 우리는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떤 의미를 표현하고자 최선을 다 하지만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 의미가 남겨지는 것이 상징의 특징이다. 그러므로 상징적 의미를 온전히 표현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상징은 이미 상징으로서 생동성을 잃은 것이다. 모래놀이상담에서 상징은 정신의 적극적인 기능이며 다양한 형태로 자아의 자각에 나타난다. Jung의 이론에서 가장 의미 있는 개념 중의 하나인 상징화 과정은 모래놀이상담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러한 상징은 꿈이나 환상 또는 직관이나 영감, 신체증상이나 기분의 정동을 통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모래놀이를 통해서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놀이상담에서 등장하는 들소의 상징을 신화와 종교 그리고 인류문화를 통해서 나타난 의미를 심층적으로 확충하여 살펴보고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과에 속하는 야생동물로서 들소는 첫째 죽음과 재생, 둘째 정결과 순결, 셋째 힘과 권위, 넷째 용맹성, 다섯째 병마퇴치로 확충할 수 있었다. 들소는 집단적 무의식의 본능적 측면에서 동물 원형의 상징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확충되어진 들소에 담긴 상징성 연구 결과는 동물 원형에 대한 새로운 상징적 의미를 보다 폭넓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