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적 정관정관문합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Rate of Pregnancy following Microscopic Vasovasostomy
저자
이경섭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9-214(6쪽)
제공처
소장기관
정관절세술은 남성의 피임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중이 하나로 연간 10만건 이상 시술됨에 따라 술후 불가피하게 복원을 원하는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저자는 1989년 2월부터 1994년 1월까지 현미경적 정관정관문합술을 시행 받았던 77명 중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67명을 대상으로 수술성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67명 중 45명이 임신하여 임신 성공률은 67.2%였고, 술후 정액검사를 시행하였던 62명 중 55명에서 정자수가 ?? 이상 관찰되어 해부학적 성공률은 88.7%였다. 봉합사에 따른 임신 성공률은 흡수사인 8-0 Vicryl을 사용한 경우 75.0%(18/24), 비흡수사인 10-0 및 9-0 Nylon을 사용한 경우는 60.5%(26/43)로 흡수사를 사용한 경우가 약간 성적이 좋았다. 폐쇄기간에 따른 임신 성공률은 폐쇄기간이 3년 이내인 경우 93.3%(14/15), 3-8년인 경우 63.8%(30/47), 9년 이상인 경우가 20.0%(1/5)였다. 정자육아종 유무에 따른 임신 성공률은 watery한 정관액이 유출된 경우 80.0%(12/15), opalescent한 경우 60.0%(18/30), creamy한 경우 42.9%(3/7)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유출된 정관액이 watery한 경우 임신 성공률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정관절제술후 정관정관문합술까지의 폐쇄기간, 정관액의 육안적 소견이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미쳤고, 봉합사와 정자육아종의 유무는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임신성공에 중요한 것은 술자의 수술술기라고 생각되며 앞으로 정관정관문합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eventy-seven microscopic vasovasostomies were done from February 1989 to January 1994 at Dongguk University Pohang and Kyungju Hospital. Of these 77 patients, only 67 patients could be followed up and analyzed as to related to vasal obstructive interval, gross appearance of the vas fluid, suture materials, and presence or absence of sperm granuloma. Success rates were 88.7% for patency and 67.2% for pregnancy. If the interval had been less than 3 years pregnancy was 93.3%(14/15), 3 to 8 years 63.8%(30/47), 9 years or more 20.0%(1/5).
Pregnancy rates according to gross appearance of vas fluid were 80.0%(12/15) for watery fluid, 60.0%(18/30) for opalescent fluid and 42.9%(3/7) for creamy fluid.
Presence or absence of sperm granuloma at the vasectomy site or type of suture material (absorbable 8-0 Vicryl versus non-absorbable 10-0 Nylon) did not affect the pregnancy rates.
We concluded that surgical skill may be more important for the improve success rate of vasovasostomy, and success rates are related to the obstrutive interval, gross appearance of vas flui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