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발표 : HPV DNA Chip 검사에서 HPV 양성을 대상으로 세포형태학적 성상의 유용성 평가 보고
배 경 HPV는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Harald zur Hausun(1987)에 의해 최초로 발표된 이후 자궁경부암과 HPV의 관계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었고, 현재 HPV는 98%로 자궁경부암을 유발한 중요한 병원체로 알려져 있으며, HPV를 유형별로 보면 High-risk type 16,18, 31, 33형이 자궁경부암의 중요한 발생인자로 보고가 되었으며, Low-risk type 6, 11형이Condyloma acuminatum, Low-SIL의 외음순에 발생 인자로 보고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저자는 HPV DNA Chip 검사에서 HPV 양성으로 진단된 Case를 대상으로 세포검사 결과에 따른 세포형태학적 성상을 관찰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방 법 2011년 1월부터 현재까지 시행한 HPV DNA Chip 검사에서 HPV 양성으로 판명된 1,722Case를 대상으로 세포검사(Pap smear)결과와 각각 비교 하였으며, HPV DNA Chip 검사에서HPV 양성으로 진단된 Case는 High-risk type, Low-risk type, High+Low-risk, Atypicaltype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Case를 분석해 보았다. 세포검사(Pap smear)결과는 Negative와 ASCUS이상으로 각각 구분하고, ASCUS이상 진단은 다음과 같이 ASCUS(ASC-H), CINI(HPV), CIN II(HPV), CIN III, Sq cell Ca등으로 세분화 하여 HPV type과 세포형태학적 성상들을 관찰해 보았다. 결 과 1) HPV DNA Chip 검사에서 HPV 양성으로 진단된 1,722 Case를 대상으로 세포검사(Papsmear)에서는 Negative 1,188 Case(69%), ASCUS이상 534 Case(31%)의 결과가 나타났다. 2) 세포검사(Pap smear)결과 Negative으로 판독된 1,188 Case 대상으로 HPV DNA Chip검사 결과 HPV 양성으로 진단된 Case를 분류해보면, High-risk type 451, Low-risk type338, High+Low-risk 38, Atypical type 361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ASCUS이상 534 Case에서는 High-risk type 352, Low-risk type 84, High+Low-risk 15, Atypical type 83으로 나타났다. 3) 세포검사(Pap smear)결과 ASCUS이상으로 판독된 534 Case를 진단별로 분류한 결과ASCUS(ASC-H) 116 (조직검사 결과 Benign 15, Dysplasia 이상 47, Others 54)으로 나타났으며, CIN I(HPV) 238(H:16, 18, 31, 39, 51, 56, 58, 66, 68 L:53, 81, 70) CIN II(HPV)47(H:16, 18, 35, 53, 58, 66 L:70) CIN III 113(H:16, 18, 31, 33 L:70), Sq cell Ca16(H:16, 18)으로 나타났고, AGUS 1(H:16), AIS 2(H:16, 18), Adeno Ca 2(H:18)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4) HPV type별로 공동세포, 이상각화세포, 콘딜로마성 방기저세포의 출현 비율은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Low-SIL와 HPV 양성일 때는 공동세포(87%)와 이상각화세포(10%)가 많이 나타났으며, HPV 56, 66 형이 높은 발현률을 보였고. High-SIL이상과 HPV 양성의 경우에는 이상각화세포(63%)와 콘딜로마성 방기저세포(33%)가 많이 나타났으며, HPV 16,18, 31, 33형이 높은 발현률을 보임을 본 연구를 통해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