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손상 논쟁 고찰 = A Review of the Impairment Debate Surrounding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67(3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손상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후속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적 모델의 개요와 이 모델이 손상 문제를 논의에서 배제한 과정을 살펴본 후 이를 비판한 2세대 장애학의 주요 이론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여성주의 장애학자들은 손상의 개인적 경험을 장애학에서 공론화하기 시작했으나, 사회적 모델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개인적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모델 본연의 의미를 약화시키는 한계를 보였다.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손상 또한 담론의 구성물임을 강조하면서 범주화의 문제와 정체성 정치의 폐해를 예리하게 비판했으나, 관찰자로 머무르며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는 무력한 모습을 보였다. 손상의 사회학은 장애의 체현의 측면을 논하고 손상의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부각시켰으나, 지나치게 문화적으로 경도되어서 장애 현상의 사회경제적 측면을 간과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비판적 실재론은 손상 논쟁에서 쟁점화된 다양한 사안들을 포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나 현재로선 손상의 실재성을 분명히 했다는 것 이외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들은 다양한 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혀주었지만, 지나치게 상이한 존재론적,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 위에서 각기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고 있어서 이들을 통합하거나 모든 입장을 포괄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은 쉽지 않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통합적 작업을 포함한 후속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손상 논쟁의 쟁점들, 그리고 각 입장의 의미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s in the area of disability studies by critically examining the impairment debate surrounding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is paper demonstrates how the social model excludes the concept of impairment from the discussion on disability and then critically analyzes the major theor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disability studies. Feminist disability scholars began publiciz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experiences of impairment in disability studies, but by simply adding individual aspects to the social model, they demonstrated limitations in weaken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ocial model. Post-structuralists sharply criticize the problem of categorization and identity politics, emphasizing that impairment is likewise a construct of discourse, but they remain observers and are helpless to develop solutions. The sociology of impairment underscores th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disability and emphasiz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impairment,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verlooks the socioeconomic aspect of disability because it is too culturally inclined. Critical realism provides o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address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impairment debate, but at present, it has produced no significant results other than clarifying the ontological reality of impairment. Although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s have broadened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various dimensions, they were developed with various orientations on significantly different ontologic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so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synthesis or even a new model that encompasses all the positions. What is needed at least at this point is to examine the issues raised in the impairment debate and to clearly understand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r each posi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1.06 | 1.237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