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明學, 聖人됨의 학문 - 儒家의 自己超越論 = Yang-Ming's Thought, the Discipline to be a Sa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80(32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양명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학문은 무엇일까? 그것은 ‘성인되기’ 학문이었다. 양명은 이 과정에서 노ㆍ불의 공부방법과 주자의 공부방법을 체험한 후에 자신의 공부방법론을 완성한다. 이것이 良知를 바탕으로 한 양명학이다.
양명이 어린 시절부터 ‘성인되기’를 자신의 학문목표로 삼고 있었음을 年譜는 보여준다. 당시 12살의 양명은 가정교사에게 나의 학문목표는 세상에서 최고로 치는 科擧 합격이 아니라 자기초월을 완성한 ‘성인’이 되는 것이라는 주장을 한다. 결국 ‘성인되기’라는 양명학문의 내적 동인은 이후 다양한 영역과 실천적 만남을 갖게 될 운명을 만든 프로메테우스적 역할을 한다.
12살의 소년 양명이 목표했던 성인의 모습이 유가적 성인의 모습을 갖기 시작한 시점을 연보는 31살의 고뇌하는 양명에게서 보여준다. 가족을 버리려다 결국 가족을 버리지 못한 양명이 가족을 버린 선승을 집으로 돌려보낸 일화는 그가 인륜을 저버리는 불교의 空理적 세계관에 인륜을 최상으로 여기는 유학의 天理적 세계관으로 대치했음을 보여준다. 덧붙여 양명 불교비판의 근저에는 불교가 自私自利하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이런 사고는 역시 천리의 체인에서 나오는 것이다.
불교를 넘어 주자학과 대면한다. 양명학 형성 전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준 공부방법론은 주자의 卽物窮理적 格物說이었다. 이 만남은 최초의 우호적이고 절대적 믿음으로부터 좌절과 포기의 굴곡을 지나 마침내 良知와 致良知로 끝을 맺는다. 양명이 주자 격물설을 포기했던 이유는 卽物窮理적 格物說이 마음과 대상을 둘(心物爲二)로 삼는 定理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판단밑바탕에는 ‘성인되기’ 방법으로 卽物窮理적 格物說은 적합하지 않다는 양명의 자기체험이 있었다. 불교를 지나 주자학을 넘어 양명은 致良知를 완성한다. ‘양지대로 하는 것이 바로 성인이 되는 길이다’는 치양지는 양명학의 본래면목을 여실히 보여준다.
본 논문은 양명이 ‘성인되기’를 향해 모색하고 실천했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데 중점을 두었다.
What is the ultimate goal of Wang Yang-Ming? It is how we can become a sage. In the process to achieve his goal, Yang-Ming experienced diverse personal cultivating ways which are Daoism, Buddhism, and Chu Hsi[朱熹]'s method called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Finally he established his own method that is rooted on Innate Knowledge of Goodness[良知].
From the early days of his life, we can see that he determined to be a sage through his chronological record[年譜]. At his 12, He answered a tutor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his life is not to succeed the exam for an officer but to be a sage. The desire of becoming a sage drove him to experience diverse personal cultivating fields such as Daoism, Buddhism, and Chu Hsi's method.
At the age of 31, he realized that his model of a sage is far from Buddhism.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record, he returned the monk who stayed in a temple to be a Buddha to his family, teaching the monk the importance of family. This anecdote show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 origin of emphasizing the value of family is derived from the idea that everything in existence has embodied the value of Tian Li[Heavenly Principle, 天理], While in Buddhism, nothing has a consistent value, this idea can be called as Gong Li[Nothing Principle, 空理].
Chu Hsi's method called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made a great influence to Yang-Ming. At first, he had no doubt about the efficiency of Chu Hsi's method. But later Chu Hsi's method turned out to be inefficient for Yang-Ming to become a sage. Chu Hsi's idea, the existence of principle in outside world, blocks the practical discipline, since it divides the subject and object apart. Therefore, Yang-Ming adopted Meng zi[孟子]'s Innate Knowledge of goodness[良知] and developed his own ultimate method to be a sage into practical axiom of Fulfillment Inmate Knowledge of Goodness[致良知]. In this paper I adopted a writing style like narration in an expectation of that showing his energetic effort to find the right way into a sage can answer the questions of Yang-Ming's though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