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분권화의 영향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Fiscal decentralization has a great impact on efficiency and governance in the public sector. According to fiscal federalism theory, fiscal decentralization may improve economic efficiency, cost efficiency, accountability, and resource mobilization(Bird and Vaillancourt, 1998), and may also increase transparency and decrease corruption(Joumard and Kongsrud, 2003).
At the same time, some argue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may lead to negative results. Only developed countries provide successful examples of economic growth due to fiscal decentralization, while developing countries provide negative examples of macroeconomic instability due to fiscal decentralization(Davoodi and Zou, 1998). Prud`homme(1995) has suggested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is not a panacea but a potent drug. He explains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has the desired salutary effect when prescribed for the relevant illness, at the appropriate moment and in the correct dose. However, in the wrong circumstances, it can harm rather than he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public sector with five dependent variables: government effectiveness, government size, economic growth, corruption, and regional imbalance. This study utilizes two analytical methods. First, a variety of time-series regression techniques are used with a multi-year dataset of 20 countries including developed and developing ones, in an effort to assess its impact on five dependent variables.
Second, a case-study method is used to describe important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ies which have taken place in 13 countries.
Major findings from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or developed countries, the government budget size and economic growth rate increase as fiscal decentralization proceeds.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government budget size increases as fiscal decentralization proceeds, and the degree of corruption and regional imbalance worsen as fiscal decentralization proceeds. One implication from the current findings is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does not always result in desirable effects, and rule of law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ies.
Major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biguous and unprepared decentralization reforms are not successful, especially in traditionally centralized countries. Second, fiscal decentralization reforms with certain political intentions do not result in fiscal decentralization. Third, every country does not pursue fiscal decentralization.
Since fiscal decentralization is an effective means to reinforce local autonomy, it should be achieved to a certain degree. However, pursuing such policy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has higher costs than benefits. Therefor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decision-makers are as follows. First, the rule of law should precede fiscal decentralization.
Secon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can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Third,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increased. Lastly, responsibility for local expenditure should be clearly defin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