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서사적 위반과 경계 넘나들기(2) - 에.테.아. 호프만의 『브람빌라 공주』 연구 = Narrative Transgression and Boundary Crossing(2) - A Study on E. T. A. Hoffmann’s Prinzessin Brambilla
저자
홍자선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1-116(26쪽)
제공처
소장기관
서사적 메타렙세는 서사 층위 간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의도적으로 서사 논리를 위반하며 텍스트의 인위성을 부각하는 메타픽션적인 서술 전략이다. 이는 현대적으로 개념화되기 이전에 이미 독일 낭만주의 문학에서는 즐겨 사용된 서술 방식으로서, 이 논문에서는 에.테.아. 호프만의 『브람빌라 공주』에 나타난 서사적 메타렙세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를 연구한다. 서사적 메타렙세는 수사적 메타렙세와 존재론적 메타렙세로 구분되며 호프만의 작품에는 두 가지 유형의 메타렙세가 모두 나타난다. 작품에 나타난 수사적 메타렙세는 서사와 서술의 동시성을 통해 서사 논리를 해체하고 서술 주체의 불확실성을 강조함으로써 텍스트의 인위적 속성과 허구성을 강조한다. 존재론적 메타렙세의 경우 상이한 서사 층위의 물리적 경계 붕괴를 통해 『브람빌라 공주』의 열린 해석과 낭만주의 시학의 이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에는 미장아빔을 통해서도 서사적 메타렙세의 효과가 간접적으로 시도된다. 독일 낭만주의 문학을 현대적 서사 개념을 통해 재조명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을 드러내고 낭만주의 문학의 잠재적 영향력을 현대 문학 및 이론적 담론 속에서 새롭게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Narrative metalepsis is a metafictional narrative strategy that collapses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narrative levels, deliberately violating narrative logic and emphasizing the artificiality of the text. Before being conceptualized in modern theory, this narrative technique had already been frequently employed in German Romantic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manifestation and significance of narrative metalepsis in E. T. A. Hoffmann’s Prinzessin Brambilla. Narrative metalepsis can be categorized into rhetorical and ontological metalepsis, both of which appear in Hoffmann’s work. Rhetorical metalepsis dismantles narrative logic and highlights the uncertainty of the narrative subject by creating simultaneity between narration and the narrated events, thereby reinforcing the artificial and fictional nature of the text. Ontological metalepsis, on the other hand, embodies the Romantic poetic ideal by physically collapsing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narrative levels, allowing for an open interpretation of the text. Finally, in this work, the effect of narrative metalepsis is also indirectly achieved through mise en abyme. Reinterpreting German Romantic literature through the lens of modern narrative concepts highlights the continuity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contributes to a renewed evaluation of Romantic literature’s latent influence on contemporary literary and theoretical discours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