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쟁단카(短歌)와 가해의 기억 - 트라우마 체험의 이해와 성찰의 형식 = War Tanka and Memories of Violence and Harm: Forms of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Traumatic Experiences
저자
박지영 (인하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35(29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전쟁 기억에서 가해 행위에 대한 인식과 증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의 하나인 트라우마 증상과 관련하여, 그 표상 불가능성을 극복하는 형식으로서 단카의 역할을 살펴본 것이다. 와타베 료조와 가와구치 쓰네타카의 사례는 트라우마 기억의 주요 특징인 직사성과 지연의 구조를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었다. 체험된 사건이 그대로 보존된 채 반복적으로 회귀하는 직사적 기억은 짧은 운율 속에 눈앞의 사상을 즉각적으로 포착해내는 단카의 기회시적 특징을 통해 언어화되었고, 오랜 시간에 걸쳐 수정과 편집, 다시쓰기를 거듭함으로써 전장 체험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통합하고 표상해낸 것이다.
이들의 단카에는 포로 학살과 강간, 위안부, 일본군 내부의 가혹 행위까지, 일본이 중국에서 저지른 가해 행위가 세부적 상황 묘사를 통해 신체성을 지닌 기억으로 포착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가혹한 체험을 직시하고 경악과 공포라는 자신의 피해를 가해 행위의 결과로서 이해해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반세기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것은, 가해의 체험이 단순히 말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위를 명확히 인식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폭력의 체험을 ‘가해’라는 명백한 사실로 이해하고 주체적인 기억으로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답변할 수 없는 물음에 대한 오랜 천착이 필요한 것이다. 와타베와 가와구치의 창작 행위는 전쟁 기억의 형성과 전달을 넘어서 그것을 현재의 삶에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지 엄격하게 반문하는 성찰의 형식으로서 단카의 역할을 확인해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anka poems as a form of overcoming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n relation to trauma symptoms, which is one of the reasons why awareness and testimony of acts of violence are not well conducted in war memories. The case of Ryozo Watabe and Tsunetaka Kawaguchi clearly demonstrate literality and the structure of delay,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memories. The memories of literality, in which experienced events are preserved as they are and repeatedly returned, could be verbalized through the occasional poetic characteristics of Tanka, which immediately captures the thoughts before their eyes in short rhythms. They subjectively integrated and represented the meaning of their battlefield experiences with repeated revisions, editing, and rewrit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ir tanka, the aggression committed by Japan in China is captured as a physical memory with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ituation.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e process of facing the harsh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e damage of one’s own astonishment and fear as a result of the act of inflicting. The fact that this process took half a century dose not mean that the experience of violent harassment is simply difficult to talk about, but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recognize one’s own ac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iolence as an obvious fact of “inflicting harm” and talk about it as a subjective memory, a long-term exploration of questions that cannot be answered by oneself is necessary. Watabe and Kawaguchi’s creative acts confirm the role of Tanka as a form of reflection that goes beyond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war memories and questions how to position them in present lif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