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니체의 인간관과 교육철학 - 종말인(der letzte Mensch)비판과 위버멘쉬의 교육철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저자
최순영 (사회통합위원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2(28쪽)
KCI 피인용횟수
9
DOI식별코드
제공처
Nietzsche als ein pädagogischer Philosoph hat nicht so viel Aufmerksamkeit erregt, als seine andere philosophische Themen. Die systematischen publizierten pedagogischen Werke Nietzsches können z.B, ‘Über die Zukunft unserer Bildungsanstalten’, dritte Abhandlung der Unzeitgemäßigen Betrachtungen ‘Schopenhauer als Erzieher’ genannt werden. Sie sind relativ die Werke jüngeres Nietzsches. Dieser Umstand macht Nietzsches pedagogische Werke sekundär.
Und die Ausnutzung pedagogischer Werke Nietzsches von Nazismus behindert die ausfürlichen Forschungen über Nietzsches pedagogische Werke. Aber man kann Nietzsches pedagogische Schriften von jungem Nietzsche bis an alten Nietzsche regelmäßig finden, z. B, Morgenröte, Also sprach Zarathustra und Nachlässe. Nietzsches philosophisches Interesse an Pädagogik ist auch stark genug um Zarathustra als Zuchtmeister zu nennen.
Wenn wir darauf aufmerksam sind, daß Nietzsche die modernen Menschen als der letzte Mensch kritisiert hat, und er hat dagegen den Übermenschen entgegenstellt. Wir können davon einen Schluß ziehen, daß Nietzsches pedagogische Schriften nicht sekundär sind. Man kann sagen, also ist Zarathustra ein neuer Führer und gleichzeitig ein neuer Lehrer.
Es gibt verschiedene Interpretationen über Nietzsches pedagogische Schriften, wie andere Themen Nietzsches. Einerseits, die antiauthoritäre, individuelle und liberale Interpretation, die Zarathusras Lehre “Nun heisse ich euch, mich verlieren und euch finden” betont. Anderseits die authoritäre, anti liberale und adelige Interpretation, sie behauptet, daß die Nietzsches pedagogische Philosophie nicht mit demokratischem Massenerziehungssystem kompatibel ist. Um die vorurteilvollen Interpretationen zu vermeiden, ist keine willküre Auswahl von Nietzsches komplizierten, widerspruchvollen Texten erforderlich.
Das ist eine notwendige Voraussetzung für mehr objektive und vorurteilfreie Interpretation. Damit kann man eigene Interpretaion über Nietzsches pedagische Philosophie zu versuchen beginnen.
Das heutige Erziehungssystem ist in Krise geraten, das gute Persönlichkeit der Studenten herausbilden soll. Nietzsche hat stark über das moderne Erziehungssystem kritisiert, das, abgesehen von persönlichen Unterschieden, die Studenten nur zu den utilitarischen und spezifizierten Zwecken geführt hat.
Nietzsche hat auch die frühzeitige Selbstständigkeit der Studenten, die den unentbehrlichen,diszipinaren Lehrprozeß für die beste Erziehung zerbrochen hat.
Seine scharfe vorweggenommene Kritik eröffnet uns eine neue Perspektive,damit wir das moderne Erziehungssystem gründlcih wieder reflektieren können.
Nietzsches pedagogische Schriften als eine einsichtige intellektuelle Quelle für die Kritik über das moderne Erziehungssystem erfordert uns neue akademische interesse und weitere Forschungen.
교육철학자로서 니체는 그의 다른 연구분야에 비하여 주목받지 못했다. 체계적 형태로 제시된 니체의 교육 관련 저서로는 ‘우리 교육기관의 미래에 대하여’,‘반시대적 고찰’의 3부 ‘교육자로서 쇼펜하우어’를 들 수 있다. 체계적 교육철학저술이 초기 저작들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니체의 교육철학을 주변적인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나찌스의 니체 교육철학의 오용은그의 교육철학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방해했다. 그러나 니체의 교육철학적언급들은 ‘아침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유고’ 등, 그의 전체저작에걸쳐 산재해 있고, 그의 교육철학에 대한 관심도 지대한 것이었다. 차라투스트라는 자신을 훈육의 마이스터라고 자칭하였다.
종말인으로서 현대인을 비판하고 그의 대안으로 위버멘쉬를 강조하는 니체의철학적 의도를 감안한다면 그의 교육철학은 결코 주변적일 수 없다. 차라투스트라는 새로운 지도자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교육자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니체의 교육철학에 대해서는 그의 다른 연구분야와 마찬가지로 상반된 해석들이 공존한다. 차라투스트라를 따르지 말고 각자 자신을 찾아라는 차라투스트라의 가르침과 같은 반권위주의적 모습을 부각시키며 니체의 교육철학을 반권위주의적, 개인주의적, 자유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경우와 그 반대로 니체의 교육철학은 민주적 대중교육과는 화합할 수 없는 엘리트주의적이고, 훈육과 강한규율을 강조하는 귄위주의적 교육철학으로 해석하는 것이 다른 한 해석이다.
필자는 이러한 한쪽으로 치우친 해석을 피하기 위한 니체 교육철학 해석의 기초는 니체의 교육철학 관련 텍스트에 대한 자의적 선별에 의한 해석을 극복하고,우선 모순적으로 보이고, 복잡한 니체의 주장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해석해야함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확하고 세밀한 해석을 바탕으로 자신의 주장을전개해야 할 것이다.
훌륭한 인격을 가진 인간을 형성하는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해야 하는 교육이위기에 처해있음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일찍이 현대 대중교육이 개인의 개성을무시한 채 실용성, 전문성에 치우침을 비판하고, 섣부르고 조급한 피교육자의자율성의 강조로 야기되는 修學的 규율의 붕괴를 날카롭게 지적한 니체의 교육철학은 위기에 처한 현대 대중교육에 대한 근본적 성찰점들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니체의 교육철학은 우리가 현대 대중교육의 문제점을 숙고하는데 많은 예리한 통찰들을 제시하는 지적보고이다. 그러므로 그의 교육철학에 대한 보다 많은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니체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Nietzsche-Societ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74 | 1.844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