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병화 시의 역설적 의미 구조 연구 = A Study of Paradoxical Meaning Structure in Cho Byung-hwa’s Poem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7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70(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writing investigates paradoxical meaning structure in Cho Byung-hwa’s poems laying stress on independence consciousness, time consciousness, world consciousness. It is as following if summarize this discussion. First, most former researches refer to solitude by special quality of Cho Byung-hwa’s poems, but as well as estrangement consciousness that mean that is lonely loneliness to solitude , poetic self does to rupture oneself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my area self-examination and contain self-existence consciousness that indurate. Follow Cho Byung-hwa’s poems is formed independence consciousness with paradox between fate and self-existence, despair and patience. Second, most former researches refer to time consciousness by special quality of Cho Byung-hwa’s poems, but as well as time consciousness simply forgetfulness about recollection, excessive fondness as is linked with expectation about desertion, future the past/now/future of time result separatively, or they do not meet by generate tension of recollection that interest rate ship traitor confrontation clause that is collides mixedly. Follow Cho Byung-hwa’s poems is formed time consciousness with paradox between memory and forgetfulness, expectation and conference. Third, most former researches refer to yearning or revolution consciousness about hometown , mother by special quality of Cho Byung-hwa’s poems, but as well as world consciousness he show extension of poetic meaning including dimension of religious consciousness furthermore. Follow Cho Byung-hwa’s poems is formed world consciousness , religious consciousness with paradox between dream and real, flesh and spirit, mother and God.
더보기이 글은 모순되는 의미가 농축된 시어에 주목하여 조병화의 시 세계를 지배하는 역설적 의미 구조를 규명한다. 이 글은 조병화의 시 세계를 지배하는 역설적 의미 구조를 ‘스스로’, ‘홀로’, ‘오히려’ 등의 시어로 대표되는 ‘단독자 의식’의 관점, ‘익잖는 추억’, ‘오잖는 기다림’ 등의 시어로 대표되는 ‘시간 의식’의 관점, ‘고향’, ‘어머니’ 등의 시어로 대표되는 ‘세계 인식’의 관점 등으로 해명한다. 이 논의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조병화 시의 특성으로 ‘고독’을 언급하지만, 조병화 시의 ‘고독’에는 외로움이나 쓸쓸함을 뜻하는 ‘소외 의식’뿐만 아니라, 시적 자아가 내면적 성찰을 통해 자신을 외부 세계와 단절시키며 단련시키는 ‘자존 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조병화 시에서 소외 의식과 자존 의식은 상호 대립하기도 하고 공존하기도 하면서 시적 자아의 존재론적 양상을 복합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내면적 역설의 긴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병화 시는 운명과 자존, 절망과 인고의 모순에서 발생하는 역설을 통해 ‘단독자 의식’이 형성된다. 둘째,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조병화 시의 특성으로 ‘시간 의식’을 언급하지만, 조병화 시의 ‘시간 의식’은 단순히 추억에 대한 망각, 집착을 버림, 미래에 대한 기대 등과 연결되면서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성과 독립적으로 만나거나 평면적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추억’과 ‘익지 않음’, ‘기다림’과 ‘오지 않음’이라는 이율배반적 대립 항이 복합적으로 충돌하는 내면적 역설의 긴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병화 시는 기억과 망각, 기대와 회의의 모순에서 발생하는 역설을 통해 ‘시간 의식’이 형성된다. 셋째,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조병화 시의 특성으로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나 회귀 의식을 언급하지만, 조병화 시는 이러한 차원뿐만 아니라 ‘세계 인식’ 및 ‘종교 의식’의 차원까지 포함하는 시적 의미의 확장을 보여준다. 조병화 시의 ‘세계 인식’으로서 ‘꿈과 현실의 이원성’과 ‘영혼과 육체의 일원성’이 엇갈리며 중첩됨으로써 역설적 의미 구조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기성 종교의 사상 및 가치와 ‘고향’이나 ‘어머니’로 대표되는 자기 신앙적 차원은 상호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상충하기도 하면서 내면적 역설의 긴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병화 시는 꿈과 현실, 영혼과 육체, 어머니와 신의 모순에서 발생하는 역설을 통해 ‘세계 인식’ 및 ‘종교 의식’이 형성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3 | 0.724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