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의 지방자치와 젠더 정치의 현실: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장의 실태를 중심으로 = Gender Politics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115(4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began with questions about why the advancement of female governor and mayoress in local government has been very sluggish, even if the femal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female lawmakers of the local council have increased steadily in the Korea. We critically bring up a problem that those reality directly reflects the reality of gender politics. The system of local government are called ‘practice and training ground of democracy'. Despite the substantive limitations of the system of local governments in these days, it is also true that the local government is becoming a systematic mechanism to foster the vitality of politics of local residents from the bottom during the sixth terms. Thus, it is imperative that the system of local government need to increase openness to gain right to access without any discrimination.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central forces that directly articulate and realize the political needs of the people in the system of political authority in the locality. So far, female governor and mayoress have been scarce in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re is no single female governor in the local government. Owing to the claim that ’the application of the Women's Quota System is not allowed to the local government’, the position of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s a closed door to wome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for women, instead of being reliant with formal quotas, to enter into the status of the actual authority. In other words, public consensus nexus makes contribution to dissolve gender inequality by reevaluating of the effectiveness of the quota system and readjusting electoral system to promote women politicians.
더보기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여성 국회의원 및 지방의원의 비중은 점진적으로 증대하고 있는데, 왜 여성자치단체장은 매우 희소한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은 매우 직접적으로 한국의 젠더정치의 현실을 반영한다는 것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의 실험장, 훈련장’으로 불린다. 중앙의 통제로 인해 한국의 지방자치는 많은 구조적인 현실적 제약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민선 6기에 이르는 동안 지방자치는 아래로부터의 주민정치의 활력을 키워나가는 제도적 장치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지방자치에 사회구성원이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개방성을 높여야 하는 것은 필수 전제이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집행부 중심의 구조에서 주민의 정치적 요구를 직접적으로 결집하고 표출하는 핵심 권력이다. 주민의 삶과 직결되는 직접적인 정치적 요구를 정책형성과 정책결정의 과정을 통해 실현시킬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지방자치에서 여성단체장은 희소한 실정이다. 할당제가 시행되는 지방의원 부문에서 여성 비중이 최소한 유지되는 데 비해, ‘여성할당제의 적용은 불가하다’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는 여성에게 닫힌 문이다. 특히 지난 26년 동안 광역단체장은 단 1명도 배출하지 못했고, 기초단체장은 최고기록이 4% 수준이다. 후보조차 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적, 구조적으로 정치에서 배제되어 온 여성이 실질적 권한 행사의 영역에 진입할 수 있도록 여성할당제와 선거구제 조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6-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1 | 1.217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