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브스 아웃>의 내러티브 시간 분석 = An Analysis on the Narrative Time of Knives Out: the Utility and Limitation of Gérard Genette’s Narrative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689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57(19쪽)
제공처
본 논문은 영화 <나이브스 아웃>(2019)에서 스토리 순서를 변형하는 서술의 시간이 구축하는 내러티브 효과와 장르 변주를 살펴보고, 이것이 영화의 사회적 메시지를 강화하는 데 작용함을 확인한다. 특히 연대적 스토리 순서를 거슬러 앞선 사건을 언급하는 ‘소급 제시’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시간을 분석한다. 이론적 도구로는 소설뿐 아니라 영화 내러티브 연구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제라르 주네트의 논의를 활용한다. 내러티브 순서에 관한 주네트의 개념들은 스토리 시간과 서술의 시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문학과는 다른 영화 내러티브의 고유한 특성에서 기인하는 이론적 한계도 발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나이브스 아웃>은 스토리 순서를 플롯 상에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탐정 영화의 내러티브 관습을 변주한다. 이는 관객의 호기심, 서스펜스, 놀라움을 모두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미국 사회의 계급 문제와 자본주의적 이기심을 비판하는 주제의식을 뚜렷하게 만든다. 둘째, 주네트의 내러티브 시간 이론을 벗어나는 순간이 영화 곳곳에 있다. 문자 텍스트와 달리 영화는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가 공존하며, 한 프레임에 정해진 수용 순서가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effect and the genre variation which is constructed by the time of narration that transforms story order through analyzing the film, Knives Out(2019), and confirms that this strengthens the social message of the film. Especially, I analyze the narrative time focusing on the “analepsis” which indicates the earlier incidents without following the chronological orders. I use the method of Gérard Genette who had much influence on the study on film narrative as well as novel, as an theoretical tool. Genette’s concept on narrative order is very useful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story time and time of nar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theoretical limitations from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ilm narrative which is quite distinct from literature. Consequently, I was able to verify the following through this study. Firstly, Knives out plays a variation on the convention of detective film in the process of rearranging story order in the plot. This plays the role from which effectively draws the curiosity, suspense and surprise of audience, and clarifies the theme on the criticism against class inequality and capitalist selfishness in American society. Secondly, there are some points which get out of Genette’s narrative theory on the time throughout the film. Because a film has both visual elements and auditory elements unlike a literary text, and there are not a given reception order of audience in a fram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